노복순 작가 ‘전통음악의 현대적 전승과 동시대의 언어’

2025-10-15     박세린 기자

 

전통음악의 오늘을 공연의 언어로 읽는다. 

노복순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장이 ‘전통음악의 현대적 전승과 동시대 언어’(문정기획)를 펴냈다. 

판소리, 시나위, 주악도, 정가, 농악 등 전통 음악의 폭넓은 장르를 토대로 동시대적 공연 문화의 의미를 탐구한 연구서다.

저자는 고개 주악도부터 현대 공연예술축제에 이르기까지 음악과 공연이 담고 있는 문화적, 사회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 3부까지는 논문 형식으로 학회지 발표 논문과 미발표 글을 구성한 것이고, 4부는 칼럼과 리뷰로 신문에 게재한 내용이다. 

1부에서는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판소리 연구사를 검토하며 판소리를 문학적, 음악적 차원을 넘어 공연예술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시나위 연구사를 분석하고, 현대 실연 양상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조명함으로써 전통음악이 시대적 변화 속에서 어떻게 재생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2부는 지역 민속문화와 공동체 놀이에 초점을 맞춘다. 향토민요, 농악, 집단놀이를 사례로, 음악과 공동체, 노동과 놀이가 결합한 민속예술의 복합적 성격을 탐색한다. 

3부에서는 고대 주악도와 현대 공연예술축제의 관계를 분석한다. 전주세계소리축제 등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예술이 축제라는 무대에서 어떻게 재맥락화되고, 현대적 플랫폼에서 기획·소비되며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창출하는지를 탐구한다. 

4부에서는 전통예술의 미래 가치와 사회적 기여를 논의한다. 판소리의 글로벌 전략, 지역문화 세대 계승, 예술적 동시대성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전통음악을 과거의 회상이 아닌 미래를 설계하는 문화 자산으로 재조명한다. 

노복순 작가는 “전통은 언제나 ‘지금’을 반영하는 거울이다”라며 “이 책이 우리 사회의 문학적 깊이와 예술적 다양성을 확장하고 전통예술의 동시대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생성하는 촉매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박세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