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④] 전기차의 허와 실...전기차 충전시설에 '혈세만 잔뜩'
명확한 충전구역 표시 부족..충전시설 관리 매뉴얼 전무
지난 2017년 친환경 정부 정책에 따라 전기차 1세대로 불리는 저속충전 시설이 전국 지자체 주민센터에 우후죽순 설치되면서 골칫덩이로 전락한 모습이다. [진단③] 전기차의 허와 실...전기차 충전소 개선 절실
문제는 지자체 주민센터의 충전시설은 시민 누구나 쓸 수 있도록 했지만, 현실에 맞지 않은 시설로 전락했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다.
최근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 국민생각함엔 '각 읍면동 전기차 충전시설 급속으로'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에 따르면 전북의 각 주민센터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급속이 아닌 완속이어서 사용시 불편하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충전시설을 이용 충전시엔 최소 4~5시간이 기본으로 들어간다는 사연엔 만약 급속일 경우 약 40분만에 충전이 가능하다는 내용이 국민생각함에서 큰 공감을 얻었다.
글쓴이의 댓글엔 전기차를 타고 있진 않지만 불편함이 없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를 타려고 할 것이다. 지자체의 충전시설은 급속이 합당하다. 특히 행정은 기동력이 생명이다 등 다양한 글이 올라왔다.
취재 결과 도내 주민센터 전기차 충전시설은 환경부가 한국환경공단에서 유지 관리를 맡아 설치됐다.
주민센터 주차장 한편엔 대부분 완속 충전기가 95%로 설치됐으며 규모가 큰 주민센터인 경우 고속 충전기를 설치하거나 운영을 앞두고 있었다.
기자가 현장을 살펴보니, 충전시설 관리가 제각각이고 일부 주민센터는 충전구역이 명확하게 표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주민센터 이용자나 충전시설 사용자에게 혼선을 줄 소지가 다분했다.
충전시설 문제에 대한 문의를 주민센터에 제기하면 “우리가 관리하고 있지 않다”는 대응이 많다보니, 충전시설 관리와 대응 매뉴얼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심지어 한 주민센터 충전시설은 행정차량 전용주차 구역으로 쓰이는 곳도 목격됐다.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만이 자주 생기는 곳 중 하나는 관광지여서 충전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지하주차장 내에 설치된 주민센터다.
최근 전기차 차주 이모씨는 전주한옥마을을 찾았다가 주민센터에 전기차 완속 충전시설에 다른 전기차 충전하고 있어 사용할 수 없었다. 알고보니 이 차량은 전주시 소속 전기 관용차였다.
결국 주민센터의 전기차 충전시설 관리 매뉴얼 부재는 행정의 불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이 절실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