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할성화를 위해 전북도가 역점을 두고 추진해 왔던 기업유치노력이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기 못했다는 주장이 도의회에서 나왔다. 적지 않은 기업들과 투자협약을 맺은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투자로 까지 이어진 경우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늘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계획이 결국 실패한 것에 다름 아니란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도의회 최형열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전북도가 최근 3년 동안 투자협약을 체결한 기업은 235개로 이중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만 8곳이고 300인 이상 고용기업 10곳, 100인 이상 고용기업도 44곳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 2020년 투자를 약속했던 대기업 4곳 중 3곳이 이 투자를 철회했고 300인 이상 기업 7곳, 100인 이상 기업 30곳 역시 투자여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 최의원 주장이었다. 
이에 따라 2019년 8746억 원 이었던 투자액은 2021년 1716억 원으로 급격히 감소했고 고용창출실적 역시 2019년 2160명에서 지난해엔 고작 381명에 불과했다. 기업과 지자체가 맺는 투자협약이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는 하지만 투자를 약속한 기업의 60~70%가 이를 파기하면서 협약당시의 진정성에 조차 의문이 제기될 정도다. 처음부터 전북에 투자할 계획이 없었음에도 지자체 요청에 생색내기에 불과한 투자협약에 마지못해 응했던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전북의 투자여건이 개선됐다고 하지만 아직도 충청지역이 영남지역에 비해 수도권으로부터의 접근성이나 식료품이나 화학제품 등의 특정제조업에 편중된 산업구조로 인해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기업들이 투자우선 순위에서 밀려있는 게 사실이다. 경쟁지자체보다 월등한 전북만의 투지유치 전략 수립을 통한 불리한 여건 개선의 노력이 없는 한 갈수록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음은 물론이다. 
더구나 기업유치는 단순히 보조금 늘리고 행정협조 강화한다고 당장 효과가 나는 것도 아니다. 전북이 추구하는 미래 먹을거리 산업육성과 연계한 중장기 대책수립이 시급성이 요구되는 이유다. 민선8기 전북도가 첫 조직개편을 통해 다시 한 번 기업유치와 일자리창출에 도정을 집중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결과를 주목해 본다. 이제는 말이 아니라 정말 긍정적인 성과를 내밀어야 한다. 앞으로 1년 2년후가 지금처럼 또다시 빈손이라면 전북의 미래는 너무 암울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