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대학입학 수시 모집 경쟁률에서 서울-지방대간 격차가 3년 연속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년제 대학 208곳에 대한 종로학원의 분석 결과 수시 경쟁률은 서울소재 대학이 16.85대1인데 비해 지방권 대학은 5.72대1에 그쳤다. 서울권 대학이 지방권 대학의 2.94배였다. 이같은 격차는 2022학년도 대학입시의 수시 경쟁률 2.65배와 2021학년도 2.59배에 비해 더욱 커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지방권 대학의 경쟁률이 6대1 미만으로 떨어짐으로써 사실상 ‘미달’상태가 됐다. 수시 응시가 6회까지 가능한 때문에 6대1 미만 경쟁률은 미달로 여겨진다. 이 미달 상태 대학은 전국적으로 96개 대학이었는데 이중 77개 대학이 지방대였다.  
  참으로 암담한 일이다.
  지방대 위기는 입버릇처럼 반복되는 이슈다. 또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도 거의 녹음기 수준이다. 각종 지방대 육성정책들이 연이어 나오고 있지만 수도권 대학으로만 집중되는 현상은 좀처럼 달라질 기미가 없다. 올해는 특히 서울권 대학의 반도체 학과 증원 문제가 터지면서 지방대 고사 위기는 더욱 심화되는 분위기다.
  지금까지 지방대 위기는 학령 인구 감소와 학생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 때문이다. 이중 학령 인구 감소야 어쩔 수 없다지만 학생 쏠림현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대안들이 나왔다. 이미 대학 정원이 학령 인구를 넘어섰고 앞으로 이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어서 지방대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그럼에도 정부는 소극적 자세로 일관했다. 오히려 경쟁력 강화 차원서 대학 규제 완화 등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수정해야 한다는 쪽으로 가는 모양새다. 
  특히 정부는 대학 평가 등에서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를 똑같은 기준으로 평가함으로써 지방대의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로써 지방대들은 갈수록 악화 되는 경영환경을 감수해야 하는 처지다. 정원 감소로 재정수입은 줄고 역량 평가에서 뒤짐으로써 정부의 지원에서도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이래서는 안 된다. 정부는 즉각 위기에 처한 지방대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지역소멸로 초래될 망국의 위기에 대비하는 길이다. 지금이라도 지방대에 대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할 것이다. 지방대가 살아야 지방이 산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도 산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자 한다. 지방대는 지방 경제의 비중이 큰 데다 지역내 인재를 공급하고 인구 유지에도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정책 당국은 잊지 말 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