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가 기업하기 좋은 전북 연구회를 출범시키고 관계 공무원 등과 함께 정례모임을 갖기로 했다는 보도다. 연구회 대표인 서난이 의원은 전국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전북 경제 위상을 지적하며 양질의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대기업 유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관영 전북도지사도 공약으로 대기업 유치를 제시하고 “세일즈 도지사가 돼 기업을 설득하고 매력적인 프로젝트로 기업을 유도하고 규제혁신으로 장애물을 극복하겠다”며 이른바 3박자 대기업 유치전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역 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전북이 대기업 유치에 목을 매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있어야 인구유출을 막을 수 있을뿐더러 지역 소득을 늘려 타지역의 인구를 흡인할 수 있다.
  전북은 그간 갖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지역에 비해 대기업 유치 측면에서 뒤지는 게 사실이다. 현재 전북 경제의 위상을 잘 말해주는 것은 국내 1000대 기업 중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이 1%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새만금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은 전북을 철저히 외면하는 흐름이다. 
  따라서 전북이 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 기업들이 중시하는 기업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이 긴요하다. 인프라 확충을 비롯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나아가 인센티브 등 제도적 재정적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여기에 행정적 지원을 위해 기구를 개편하거나 확충해나가는 것도 절실하다. 아울러 투자정책관제 도입이나 대기업의 투자 의향 및 인센티브 수요조사 등 정밀한 대응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 투자유치 활동도 더 활발하게 전개해야 한다. 언제부터인가 전북의 지자체장들은 대기업 유치에 손을 놓은 듯한 인상을 줬다. 아마도 현실적으로 난제 중의 난제라는 인식 때문이었을 것이다. 유치 활동 역시 도지사나 시장 군수 등이 움직이는 식이었다. 대기업 유치라는 어려운 과제를 지자체장 혼자 힘으로 풀어간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도의회의 연구회 출범은 그런 견지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대기업 유치는 지자체는 물론이고 지방의회, 지역 경제계, 학계, 정치권 등이 힘과 지혜를 모아야 가능하다. 특히 전북처럼 여러 여건 면에서 불리한 지역은 더더욱 총력전을 벌일 수 있는 전열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솔직히 연구회 수준으로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도가 중심이 돼 광범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성공 확률을 높이는 일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