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추진 중인 조직개편이 청년정책의 후퇴를 예고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다. 정부는 물론이고 전국적으로도 미래 주역인 청년들을 위한 정책 강화가 현실이 되고 있지만 전북도만이 전담부서를 늘리기는커녕 오히려 축소하는 내용을 담은 조직 개편에 나섰다는 것이다. 
전북도는 최근 입법예고를 통해 투자유치와 인재양성에 도정의 역량을 모으는 내용으로의 조직개편 조정안을 발표했다. 투자유치, 창업지원, 기업애로 해소, 규제개혁등의 기능을 한 부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기업유치지원실’을 도지사 직속기구로 설치하고 교육청과 교육계와의 협업체계 강화를 위해 ‘교육협력추진단’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유치 강화와 지역인재 육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시키겠다는 민선8기 전북도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그리고 현재 254개인 팀 중에서 48%에 달하는 121개팀을 폐지해 현재 2실9국2본부 63과 254팀을 3실9국1본부63과 144팀으로 개편하겠다는 구체적인 세부안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난해 신설한 ‘대도약청년과’가 ‘청년정책팀’으로 축소되는 내용이 담기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제대로 된 정책을 준비해 보지도 못한 체 1년만에 조직을 과에서 팀으로 격하시킬 만큼 청년 정책의 중요도가 떨어지느냐는 비판이 그것이다. 
실제 정부는 국무조정실에 ‘청년정책 조정실’을 신설해 청년문제를 다루고 있다. 서울시를 비롯해 부산, 인천, 광주, 충남, 경북 등의 지자체들 역시 지난해 청년정책 전담 인력을 최대 5명이나 증원하면서 까지 청년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인구가 몰리는 수도권 지자체는 물론이고 소멸위기에 몰린 비수도권 지자체 역시 청년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가 단순히 일자리 부족뿐 아니라 복지나 문화, 주거 등에도 적지 않은 요인이 있는 만큼 청년정책은 이를 반영한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과 대책 역시 시급하기에 조직을 오히려 확대해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다. 
전북도의회 김슬지의원은 청년이 떠나지 않고 찾아오는 전북, 희망의 전북을 위해선 전북청년의 삶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전북도의 청년정책 축소를 비판했다. 기구가 비대하다고 효과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전담인력 감소는 결국 정책개발이나 각종 지원이나 협력과정에서의 한계를 노출할 수밖에 없다.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