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수도권 학생들의 도내 농촌으로의 유학 활성화를 위한 전북도와 전북교육청의 협력모델 구축이 지역위기 극복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직은 수도권 학생들의 농촌 유학이 활성화되지 못한 게 사실이고 그동안에도 도내 기초단체 차원의 이 사업에 관한 관심이 적지 않았음에도 큰 실효성이 없었음을 부인할 수 없기에 그렇다. 

최근 전북도와 전북도교육청, 그리고 도내 기초지자체들은 농촌 유학 활성화 T/F팀을 구성하고 농촌 유학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본격 추진키로 했다. 올 2학기부터 서울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농촌유학생 유치 시범사업을 운영, 성공모델을 만들어 전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으로 서울시교육청과는 이달 말 농촌 유학 협약을 체결하는 단계에까지 의견일치를 봤다고 한다. 

그동안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지역소멸 위기에 몰린 도내 농어촌 지역 중심의 지자체들은 폐교 용지를 활용한 전북형 농촌 유학 복합센터 건립을 통해 농촌 유학 3년 이상의 장기 운영, 도시 학생의 교환학생 제도 활성화 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져왔었다. 그리고 완주군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국비 4억 원과 도비 1억2,000만 원 등 총 8억 원을 투입해 운주면에 운주농촌유학센터를 설립, 지난 2020년 11월 문을 열기도 했다. 

하지만 성과는 애초 기대와 달랐다. 인근 시도의 농촌유학생 유치실적에 비해서 크게 저조한, 사실상 실패한 모델이란 지적을 받으면서 활성화 대책이 당면 과제가 된 상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도와 도 교육청이 주도적으로 나서기로 한 결정이 주목되는 이유다.

특히 대도시 유학생 유치는 수도권에서 떨어진 대다수 지자체가 예외 없이 관심을 가진 사업으로 전남 일부 지자체들의 경우 관련 유학비 지원은 물론 가족 체류형 유학생 유치를 위해 조례까지 개정해 이를 지원하고 있다. 농촌유학생 유치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선 도 교육청은 물론 지자체의 더욱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가 되고 있단 의미다. 

실패를 되풀이해선 안 된다. 농촌유학생 유치 필요성을 일찌감치 간파하고 선도적으로 뛰어들었음에도 후속 조치 미흡으로 뒷전에 밀린 사업을 다시 추켜든 만큼 이젠 분명한 성과를 내야 한다. 지금까지의 추진과정을 자세히 점검, 보완하고 타도에 견주어 분명한 비교우위 경쟁력을 가진 전북 농촌 유학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