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알뜰폰(별정통신사)'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울산지역에서 채팅으로 만난 여성을 흉기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피해자가 '알뜰폰' 사용자라 위치추적이 어려웠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7일 경찰 등에 따르면 알뜰폰을 사용한 피해자는 지난 1일 오후 11시께 가해 남성과 다투다가 경찰에 신고를 했지만 경찰은 피해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없어 구호가 늦어졌고 결국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현행법상 SKT·KT·LG U+ 등 이동통신 3사는 경찰이 긴급 통신자료 제공요청을 하면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돼있다.

반면, 알뜰폰 사업자는 경찰의 자료 요청이 들어오면 통신망을 빌려준 통신사에 위치 정보를 요청해 얻은 답변을 경찰에 전달하는 구조다.

문제는 야간시간대나 주말이다. 응대 직원을 두지 않아 공백이 생길 때가 많다는 것이다.

이를 접한 알뜰폰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안감은 고조 상태다.

저렴한 알뜰폰 사용을 포기하고 다시 정식 통신사로 갈아타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알뜰폰 사용자 A씨(30대·여)는 "예전에는 알뜰폰 사용에 제약이 많았는데 요즘엔 통신망이 제대로 갖춰져 불편함이 없어 사용했었고 무엇보다 통신요금이 거의 반값으로 줄어 안쓸 이유가 없었는데 이제는 바꿔야 할 것 같다"면서 "정부가 시스템을 갖출 거라고 했지만 언제 갖춰질지도 모르고 내가 언제 범죄를 당할지도 모르는 데 불안해서 못 쓰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용자 B씨(60대)도 “아무리 알뜰폰이라도 통신사인데 법으로 규정되지 않은 게 놀랍다”면서 “나를 포함해 우리 아이들, 아내까지 알뜰폰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이들 폰이라도 시스템이 갖춰지기 전까지는 정식 통신사로 바꿔줘야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

한편, 정부는 올 연말까지 통신사는 물론, 자급제폰이나 알뜰폰, 외국산 스마트폰도 위치추적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하미수 기자·misu7765@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