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요즘 가장 각광받는 성격 검사는 MBTI일 것이다. 1944년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개발한 성격 유형지표다. 이론적 배경은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형이다. 융은 인간의 심리를 태도와 기능 이 두 가지로 구분했다. MBTI도 태도 지표와 기능 지표를 통해 개인의 성격 유형을 나눈다. 그런데 MBTI를 개발한 두사람은 모두 심리학자가 아니었다. 어머니는 소설가였고 딸 역시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소설가였다. 

  MBTI는 한국에서 유독 맹위를 떨친다. 사람들 사이에 흥미 위주로 사용하기도 하고 기업체에서는 진로 선택을 위한 인성검사로 활둉되기도 한다. TV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이것이 단골 소재가 된다.
  MBTI에서는 인간의 내적 과정을 4가지 선호 경향을 기초로 16가지 성격 유형을 제시한다. 먼저 4가지 선호경향을 보면 태도 지표면에서는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이고 기능 지표면에서는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이다. 이 네 가지 선호 경향을 결합하면 성격 유형은 모두 16가지가 된다. 
  하지만 MBTI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가장 먼저 반대론자들이 드는 것은 카를 융의 이론이 지금껏 과학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직관의 소산이라는 점이다. 과학적으로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또 문항에 대해 응답자 스스로 점수를 매기는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도 분명하다. 얼마든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사람들이 외향적이라고 하면 100% 외향적이라기 보다는 내향적인 요소도 섞여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MBTI는 이분법으로 나눠 정도 차를 인정하지 않는다.
  한국의 MZ세대가 MBTI를 사람 사귀는데 적극 활용한다고 미국 CNN방송이 며칠 전 보도했다. 방송은 “MBTI는 1990년대 직업 상담 도구로 인기를 끌다가 이제는 잘 쓰이지 않게 됐지만 한국 MZ세대 사이에서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며 “한국 젊은이들은 자신과 지인들의 MBTI유형을 알고 있으며 이를 특히 연애할 때 많이 사용한다”고 전했다. MBTI가 시간을 아낄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이 됐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MBTI가 이렇게 대인관계에서 만병통치약인 듯 쓰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과학적 근거도 부족하고 일관성에서 결함을 가진데다 극단적인 이분법적 사고에 바탕을 두는 등 약점이 허다한 검사라는 것이다. 마치 별자리를 보거나 혈액형으로 성격을 파악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이다. 당연히 맹신이나 과몰입은 금물이라는 지적이다. 오남용으로 더 큰 사회적 악영향을 야기할까 걱정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