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에 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긴급의료상황에 대한 대응체계가 지방일수록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나이가 들수록 각종 뇌질환이나 심장·호흡기 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음에도 이에 효과적인 처치를 할 수 있는 각종 의료시설의 지역별 격차가 심각한 수준이란 게 의료계 분석이다. 
최근 대한뇌졸증학회는 기자 간담회를 통해 응급치료가 필요한 뇌경색 환자 10명중 2명은 처음 방문한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옮겨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뇌졸중 ‘골든타임’이 3~6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환자 생명을 지키고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초기대응 부족으로 심각한 후유증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날 회견에선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지난 5월 기준으로 215개에 달하지만, 뇌졸중 표준 치료가 가능한 뇌졸중센터는 전국 67개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수도권과 부산 등 특정 지역에 절반 이상이 밀집돼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리고 전북을 비롯해 전남·경북·강원처럼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지역의 경우 뇌졸중센터가 더 확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뇌졸중과 같은 급성기 질환은 초기 응급조치가 얼마만큼 효과적이었느냐에 따라 환자의 생사가 갈리게 된다. 그런데 사는 지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적절한 치료조차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고령층의 또 다른 건강위협 요소인 심정지 긴급대응에 필수적인 자동심장충격기의 주요시설 비치율 역시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도내 경로당 6천879곳 가운데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된 곳이 25곳에 불과했고 그나마 사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단편적인 예일 수 있지만 정부는 물론이고 지자체들 역시 긴급대처가 필요한 응급의료체계와 시설 확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케 한 사례임은 분명하다. 
응급을 요하는 급성질환의 효율적 치료는 비단 고령층뿐만 아니라 국민모두가 언제든 신속하게 최고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권리의 문제다. 의료시설 불평등구조가 지역소멸위기의 한 단초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지역에선 현안이다.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해선 안 된다. 국가차원의 지원확대와 함께 의료수준 질적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강력히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