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초반 전북도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 한국GM 군산공장 철수 등 잇따라 대기업이 빠져나간 충격으로 지역 주력산업이 붕괴되며 고용 악화·경제 침체 위기상황에 직면했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도는 기존 주력산업에 대한 전면적인 혁신이 필요다고 판단, 전북의 산업지도와 경제 체질을 바꾸기 위한 새로운 생태계 조성에 매진했다.

▲ 전북 군산형 일자리, 정부 상생형 일자리 선정.

도는 지난 2019년부터 GM이 떠난 자리에 ㈜명신 등 4개 기업을 유치해 경쟁력이 있는 중견·벤처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추진했다. 그 결과 2019년 10월 상생협약 체결 이후 1년 4개월 만인 지난해 2월 정부 상생형 지역일자리에 최종 선정됐다. 특히 전북 군산형 일자리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한국 GM 군산공장 등 대기업이 떠난 폐허에 지역 노·사·민·정의 대타협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명신 등 4개 기업은 2024년까지 5412억 원을 투자해 전기 SUV·전기 트럭·전기버스 등 32만5000대를 생산하고 171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상생형 일자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한국GM 군산공장이 차지하던 생산과 직접고용의 81%, 수출은 152%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6월 ㈜명신이 전기차 1호차를 출고했으며 8월 에디슨모터스㈜가 군산공장을 준공해 중형버스를 생산하고 있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튼튼한 경제구조를 만들기 위해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산업을 탈피해 친환경 전기차 중심의 산업으로 체질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 전주·익산까지 상생형 일자리 창출에 합류하며 연내 지정을 앞두고 있다.
전주형·익산형 일자리는 정부지원 컨설팅을 통해 상생요소를 발굴하고 지난 1월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전주형 일자리는 전국 최초 탄소산업 모델로 효성첨단소재㈜, ㈜데크카본, ㈜KGF 등 3개사가 참여하고 2024년까지 1662억원을 투자해 227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일자리 모델이다.익산형 일자리는 전국 최초 노농사민정이 상생하는 모델로 하림푸드, 하림산업, HS푸드 등 하림그룹이 5년간 3773억원을 투자해 630명의 신규 일자리를 만든다. 

이처럼 전북 상생형 일자리가 전기차, 탄소산업, 농생명 식품산업의 신산업지도 개편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협약.

민선 7기 내내 전북 도정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도 결실을 맺었다.

지난 2017년 7월 가동을 멈췄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지난 2월 5년여 만에 재가동을 공식화한 것. 군산조선소는 내년 1월부터 연간 10만톤 규모의 블록제작을 시작하며 조선업 인력수급에 맞춰 점진적으로 물량을 확대해 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다. 

도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실현됨에 따라 현대중 군산조선소 조기 재가동을 통한 조선업 기반을 활성화하는 한편 중소형-특수선·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핵심 인프라를 집적화해 '서해안 미래 친환경 조선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계획이다.

도는 군산조선소 폐쇄를 교훈 삼아 도내 중소형 선박 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중소형선박 기자재 품질고도화 센터를 준공해 중소형 선박의 연구개발부터 시험인증,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또 조선해양 설치·운송 인프라 구축 및 조선기자재 사업다각화 생태계 구축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을 위한 절차에 돌입하면서 군산시 뿐만 아니라 전북 지역경제에도 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김성순기자·wwjks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