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살리기는 난제 중 난제다. 수도권 집중이 당연시 되는 마당에 지방에 소재한 대학을 살려보자는 목소리는 별달리 주목을 끌지 못하는 양상이다. 학생이 없으면 문을 닫는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게 수도권의 인식인 듯하다. 
  이 와중에 새 정부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의 관련학과 정원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인력은 매년 3천여 명이 부족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에서 비슷한 규모로 증원하는 방안을 놓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반도체 학과 증원은 애초 인기가 높은 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지방 소재 대학들의 반발이 심화되자 수도권과 같은 비중으로 지방 대학에도 정원을 늘려주기로 방침을 정한 모양이다.
  하지만 문제는 지방대학의 반도체 학과 등 첨단산업 관련 학과들이 정원을 제대로 채우지 못하는 등 고전 중이라는 사실이다. 서울 소재 명문대와 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 등의 반도체 학과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취업이 보장되는 만큼 학생들이 몰려들고 있다. 반면에 지방소재 대학의 반도체 학과는 겨우 정원을 채우거나 미달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지방 대학 반도체 학과를 증원해도 필요한 우수 인재를 배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여기서 보듯 지방 대학의 소멸 문제는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중대 현안의 하나다. 지방대가 무너지면 지역소멸은 더욱 빨라질 게 틀림없다. 
  따라서 우리는 현 시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가칭 국립대학법 제정을 서두르는 것만이 대책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국립대학법은 지방국립대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학생 1인당 국고지원금을 늘리자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우수 인재들이 수도권 대학으로만 몰리지 않고 지역 대학으로 분산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전국 국립대들은 이미 대통령직 인수위에 이 같은 안을 공식 건의한 상태다.
  교육부도 최근 국립대학법 제정을 통해 국립대학의 역할 강화와 자율성 확보 방안을 제도화하는 작업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방 대학은 지금 백척간두에 서 있다. 국가의 대폭적 지원 없이는 머지않아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다. 정부와 국회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우선 국립대학법 제정을 서둘러 지방대를 살리는 게 급선무다. 첨단산업 관련 인재 양성은 몇몇 수도권 명문대의 힘으로만 해결될 수 없다. 지방 대학이 살아나야 지역도 살고 나라 경제에 필요한 인재도 많이 배출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