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올해 RIS 사업 선정을 위해 국회 설득 등 전방위적인 노력으로 결국 관련 예산을 증액하는데 성공했다.

[기획기사 2] '타산지석'...대구(영남대)-경북(경북대)의 치밀한 준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이하 RIS사업)은 교육부가 지자체와 대학 등 지역의 다양한 지역혁신 주체들이 ‘지역혁신 플렛폼’을 구축해 지역혁신을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역 중장기 발전목표와 부합하는 핵심분야를 선정하고 지역내 대학들은 핵심분야와 연계한 교육체계 개편, 기업 등과 협업해 과제를 수행해 한국판 뉴딜 사업이라고도 불린다. 
RIS사업 유형은 단수형과 복수형으로 나눠진다.
단수형은 1개의 광역단체가 단독으로 진행하는 경우이며 복수형은 도와 그로부터 분리된 광역시 간 연합 형태를 말한다.
2020년 전남은 광주와 손잡고 복수형으로 선정되는 바람에 광역시가 없는 전북의 경우 단수형으로 지원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대구(영남대)-경북(경북대)의 치밀한 준비
올해 강원과 함께 선정된 대구-경북의 RIS 사업 유치 계획은 치밀하고 철저했다.
두 번의 탈락에 충격을 받은 대구-경북은 지역전문가로 구성된 ‘총괄협력위원회’를 운영해 실패 원인을 면밀히 분석했다.
핵심분야와 과제 설정, 대학간 협력모델 방향 설정 등 기회부터 실행까지 지자체와 구체적 방안을 결정하기 위해 차근차근 준비했다.
그러던 중 대구시는 올해 교육부가 신규플랫폼(단수형) 1곳만 선정하겠다는 방침에 아연실색했다.
대구는 경북과 함께 복수형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련 예산만으로는 이번 사업에 선정되기 힘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기나긴 내부 논의를 통해 복수형 플랫폼 예산을 확보하자는데 방침을 세우고 각 분야별 공략에 나서기 시작했다.
대구와 경북지역 정치인과 행정, 대학기관 등이 손을 합쳐 관련 상임위와 예결위 소속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예산 확보 전쟁에 나선 것이다.
지역구는 물론 여·야를 가리지 않고 끈질기게 국회를 설득한 결과 결국 신규(복수형)플랫폼1개소 추가와 400억 원의 예산을 증액시키는데 성공했다.
다시 말해 ‘없던 사업도 만들어 놨다’는 뜻이다.
실제 당초 2040억 원(1개소)이었던 관련 예산이 대구시의 노력으로 2440억 원(2개소)으로 늘어났다. 
각고의 고생 끝에 대구-경북은 자신들이 농사지은 천금 같은 ‘과실’을 수확하면서 축포를 터뜨렸다.

▲경북대 ‘총괄협력위원회’...‘1등 공신’
사업에 선정되기까지 총괄기관인 경북대가 1년 전부터 준비한 ‘총괄협력위원회’가 핵심에 우뚝섰다.
혁신에 대한 지역사회 열망을 반영하듯 지역 20여개 대학은 물론 경북도와 대구시, 대구시·경북도 교육청과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60여개 지역 혁신기관, 수 십여개의 일반 기업까지 가세했다.
경북도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경북도RIS기획위원회와 대구·경북RIS기획단을 구성해 대학들과 소통하며 지역에서 육성할 핵심 산업분야를 특정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맹위를 떨친 코로나도 이들 앞에선 무릎을 꿇었다.
지난해 10월12일 Kick-off회의를 시작으로 지난 4월 사업 선정시까지 10여 차례 이상 회의를 진행하며 23개 대학(전문대 포함)과 관련 업무협약까지 체결하는 등의 숨 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경북대 관계자는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 등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방대학과 지자체, 기업지원과의 협업은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고민형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