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막을 내렸다. 그런데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과 함께 치러진 교육감을 뽑는 선거가 이번에도 문제가 되고 있다. 철저한 주민들의 무관심과 후보자 간의 혼탁선거 그리고 정치판을 능가하는 이념 논쟁 등 여러 면에서 문제점을 노출했다. 경향 각지에서 이대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빗발치는 상황이다.
  우선 전북 도내에 문제를 국한해 보면 선거 기간 내내 교육감 후보자의 정책이나 공약은 관심 밖이었다. 후보자들은 전체 학생들을 해외로 보낸다는 등 큰 공약을 내걸었지만 유권자들의 반응은 냉랭했다. 특히 초중고 자녀가 없는 주민들로서는 교육감 선거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이었다.
  선거운동 과정의 혼탁상도 유권자들을 실망시켰다. ‘교육 소통령’이라는 막중한 자리에 오를 사람을 뽑는데도 불구하고 후보자 간 비방과 폭로, 고소 고발 등 정치판을 뺨치는 행태들이 판을 쳤다. 선거 막판 벌어진 흑색선전은 가히 충격적이다. 온갖 의혹들을 제기하고 흠집내기에 몰두하다 보니 교육계가 이 정도로 험악한 곳인가 묻는 이들이 많았다. 
  진영논리가 득세하는 것도 이번 선거에서 여지없이 되풀이됐다. 정당공천이 배제됐음에도 보수 진보를 따지는 구습은 그대로 재현됐다. 전북에서는 후보들 모두가 진보를 표방했기에 별다른 충돌은 없는 듯 했다. 하지만 진짜 진보가 누구냐를 놓고 으르렁거리는 모습이 볼썽사납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제 교육감 직선제의 문제점은 남김없이 드러났다. 그렇다면 남은 숙제는 당연히 대안을 찾아 제도를 손보는 일이다.
  안타깝게도 교육계나 정치권 등은 합의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거론되는 개선안은 제한적 주민직선제, 러닝메이트제, 임명제 등이다. 하지만 모두 일장일단을 갖는 불완전한 방안들이다. 2007년부터 직선제가 도입된 후 선거 때마다 개선 여론이 비등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진전을 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그렇다고 다음 지방선거에서 똑같은 상황이 되풀이되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직선제의 장점은 그대로 살리되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지금부터 찾아야 한다. 이에 대한 진지한 토론과 연구를 통해 합리적 대안을 만들어내야 한다. 특히 이 문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정치인들은 교육이 망가지는 현실을 직시하고 어떻게든 개선책을 도출할 일이다. 교육계 스스로도 맹성해야 한다. 제도 탓만 할 계제가 아니다. 교육계 스스로 교육감을 어떻게 선출하는 게 미래 교육에 가장 도움이 될지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