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년만에 최고인 5.4%까지 치솟았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 5.6%(8월)이후 13년9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정부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달 30일 관세를 내리고 유류세를 다시 인하하는 등 선제적으로 민생안정대책을 내놨지만 최근 39조원대 2차 추경으로 오른 물가상승률을 상쇄하는 정도의 역할 밖엔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윤석열대통령도 3일 "집에 창문이 흔들리고 마당에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거 못 느끼십니까. 우리 경제위기를 비롯한 태풍의 권역에 우리 마당이 들어가 있다"는 말로 현재 경제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할 만큼 악화일로다.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10월(3.2%) 이후 5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해오다 올해 3월 4%대로 진입한 뒤 두 달 만에 5%대 초중반까지 치솟을 만큼 거침없이 오르고 있다. 조만간 6%대에 진입할 것이란 예상까지 나온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따른 석유류·곡물 등의 원자재 값 급등이란 외적요인에 더해 코로나로 눌렸던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개인서비스 물가를 끌어올리는 내적 요인이 한꺼번에 겹쳐 물가 폭등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휘발유(27.0%), 경유(45.8%), 가격 모두 큰 폭으로 뛰었다. 전기·수도·가스는  2010년 1월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 상승률인 9.6%가 올랐다. 서민 체감물가는 이미 정부가 내놓은 5%대 물가가 아니라 생계를 심각하게 걱정해야할 수준의 고통을 주고 있는 것이다.
정부정책만으론 사실상 역부족인 상황이기에 상당기간 서민의 고통은 깊고 길어질 수 밖에 없게 됐다. 물가상승 압박에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는 저소득층과 은퇴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특단의 지원책 마련을 포함한 민생경제 위기 극복 대책 마련에 정부는 사활을 걸어야 한다. 고물가를 잡지 못하면 가계는 위기를 맞게 되고 가중되는 생활고는 결국 국가경제의 심각한 부담으로 어어지게 된다.
국가당면 최대 과제인 물가잡기에 실패한다면 새 정부는 그 첫 출발부터 심각한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일수 있는 금리인상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만일에 대비해야 한다. 민간 역시 빚을 낸 무리한 투자나 과소비를 억제해야 하고 기업들도 고통분담 차원에서 제품가격의 안정화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 경제주체 모두가 한마음으로 동참한다 해도 넘기기 쉽지 않은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