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전북도 4년의 풀뿌리 민주주의를 지키고 발전시켜나갈 민선 8기 지역일꾼 254명이 선출됐다. 도지사와 교육감을 비롯해 14명의 시장군수, 40명의 광역의원, 그리고 기초의원 198명이 도민의 살림살이를 책임지게 된다. 특히 많은 도민의 기대 못지않은 걱정 속에 전북광역자치의 수장과 교육의 최고 책임자가 새 얼굴로 바뀌었다. 안정속의 지역발전, 조용한 교육개혁으로 요약돼왔던 도정과 교육행정의 변화는 불가피하게 됐고 긍정의 변화와 이를 통한 역동적인 전북 미래에 대한 도민 열망 수용은 당면의 과제가 됐다.

5.16군사정변으로 중단된 지방자치제가 1991년 지방의회 의원 선거,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통해 부활된 지 30년을 넘기고 있지만 주민들이 체감하는 지방자치는 아직도 요원한 게 사실이다. 중앙정치 예속화만 심해졌고 지역패권 정치만 더욱 고착화시키는 부작용만 키우고 있다. 이번 지선에서도 도내 지방의원 선거구 약 4분의 1에 달하는 45곳이 민주당후보의 무투표 당선 선거구일 정도다. 호영남의 상당수 지자체는 지역패권정당이 뿌리를 내리면서 지방자치가 아닌, 정당자치가 실시되는 지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그럼에도 유권자의 선택은 있었고 4년 임기 지역일꾼들은 이제 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발전적 교육행정 구현이란 과제를 안게 됐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아니라 도민의 원하는 일을 찾아내 지역을 위해 대리해야 하는 책임이 주어졌다. 본보가 지난 선거 기간 중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새만금 국제공항 조기착공, 전북 금융 중심지 지정 노력에서부터 전주·완주 통합문제에 이르기 까지 강력한 추진력과 지자체간 진지한 협의가 필요한 전북현안은 한두 건이 아니다. 정권교체에 따른 중앙부처와 정치권과의 긴밀한 협의를 위한 소통창구 개설도 필요하고 전국 수준을 밑도는 평가가 나온 전북교육의 타 지역과의 격차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 역시 간과해선 안 될 핵심 현안으로 지적된다.

당장 팔을 걷어 붙여야 한다. 지방선거가 혼탁 과열로 치달으면서 후보들의 정치적 철학 검증은 실종되고 그나마 내놓은 공약들도 해묵은 현안들의 짜깁기 수준이었단 비난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더라도 당선자들은 각오를 다져야 한다. 잘못된 선택을 했다는 유권자들의 후회가 나오도록 해서는 정말 안 된다. ‘설마 했는데 역시’가 아니라 ‘우려는 기우’였던 결과로 기억될 민선 8기이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