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도 선로 지반 침하에 대한 보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칫 대형 참사가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관련부처의 안전 불감증으로 밖에는 해석할 수 없는 유관기관의 안일한 대처에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일부 보수가 이뤄진 구간의 경우 경부선이나 강릉선에 비해 보수기준을 느슨하게 적용한 것으로 나타나 이용객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국회 김윤덕의원(더불어민주당 전주시갑)은 지난 23일 지반 침하 보수공사가 진행 중인 익산 낭산면 중리교와 원형교 부근을 찾아 현장을 점검한 자리에서 국가철도공단(KR)이 하자보수 완료 대상개소를 해마다 다르게 보고하고, 보수 완료한 구간도 허용 침하량(30mm)의 2배에 가까운 60mm 이상으로 마무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는 하자 보수가 30mm 이하로 진행된 경부고속선, 10mm 이내인 강릉선과 비교해 유독 현저하게 떨어지는 수치라고 한다. 김 의원은 또 “지반침하가 발생한 보수대상은 총 56개 구간 97개소에 달하지만 국가철도공단은 27개소에 대해서만 하자보수를 실시했다”며 공주역 주변 등 11개소(2088km)는 노반복원, 16개소(4.432km)는 임시방편에 불과한 체결구 보수로 미비한 하자보수 진행을 보이고 있는데 대한 대책도 아울러 촉구했다.

사소한 결함이라도 대형 인명피해를 동반한 사고 가능성을 가진 고속철도의 안전과 직결된 하자를 보수하는 일이다. 더없는 검증과 보다 철저한 보강을 통해 이용객과 지역주민의 불안을 잠재워도 모자랄 판이다. 그런데 호남고속철도 지반 침하로 인한 보수과정에는 끊임없는 문제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에도 정치권과 감사원은 지반침하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보완책 마련을 강력하게 요구했었다. 하지만 국토부는 ‘안전운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 했다.

최고시속 300 킬로미터로 달리는 고속철은 사소한 부품하자나 약간의 지반침하 현상에도 재앙이라 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 보수과정의 보다 철저한 관리감독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절실하다. 김 의원이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어떻게 제시될지 모두가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 안전범위 내라고 하지만 땅이 가라앉는데 ‘문제없다’는 말만 믿기엔 너무 불안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