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 가족들의 비극이 이어지고 있어서 사회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20일 서울에서는 40대 여성이 발달장애가 있는 아들과 함께 아파트에서 몸을 던져 두 사람 모두 숨지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2월에도 서울서 50대 여성이 장애 딸과 함께 극단적 선택을 했다가 홀로 숨지는 일이 있었다. 그 외에도 경기도 시흥에서는 역시 발달장애 20대 딸을 살해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실패하는 참담한 사건이 일어나 주위를 놀라게 했다.
  꼬리를 잇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비극의 원인은 물론 평생 이어지는 양육 부담과 이에 따른 생활고다. 그리고 그에 따른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족들을 옥죄고 있다. 
  우선 발달장애는 다른 장애가 달리 가족들에게 엄청난 고통과 부담을 준다. 지적 혹은 자폐성 장애인들은 스스로 자립해 생활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학업과 취업이 사실상 막혀버린다. 이해 능력이 없는 탓에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중증 장애인 것이다. 이런 장애인이 있으면 가족 중 한 사람은 아예 하루 내내 매달려 있어야 한다.
  그로 인한 고통과 함께 생활고도 닥친다. 부모 중 한 사람은 직장을 포기하게 마련이다. 또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사적 교육이나 훈련에도 막대한 비용이 필요해 가계는 더욱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가정불화 등도 뒤따른다. 주위의 냉정한 시선도 견디기 힘든 고난이다. 이렇게 가족들은 이중 삼중의 고통을 감수하며 힘겨운 생활을 해야하는 처지에 놓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나 사회적 지원은 미흡하기만 하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등 관련 단체들은 정부에 불만을 토로한다. 정부가 장애 판정과 적은 액수의 수당 그리고 제한된 활동 지원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이라는 것이다. 발달장애 자녀와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관련 단체들은 지난달에도 낮 활동 지원서비스 확대, 지원주택제 도입 및 주거지원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여러 차례 강조하지만 그 사회의 삶의 질 수준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이 결정한다. 극단적 선택을 고려할 정도로 힘든 발달장애 가족들의 생활은 우리 사회가 아직 복지 후진국이라는 사실을 웅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애인 복지에 어마어마한 재정이 필요한 것도 아닌 만큼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발달장애인지원센터 등 제도가 시행 중이다. 이를 중심으로 더 세심하고 효과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더이상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장애인 가족이 없도록 정부에서 발 벗고 나서야 한다. ‘국가가 책임져준다’는 인식이 절실할 때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