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롯데·한화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잇달아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놨다. 최장 5년까지의 장기투자 계획이지만 이들 4개 그룹이 발표한 액수만 600조 원에 달한다. 작년 12월 국회를 통과한 올해 본예산 607조7천억 원에 맞먹는 수준으로 SK, LG 등도 조만간 투자 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경제 기조인 '민간 주도 성장'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고 삼성과 현대차의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발표에 대한 일부의 ‘한국 투자 홀대’란 비판적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로 분석된다.

삼성은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정보통신)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대한 투자금액 450조 원 중 80%인 360조 원을 국내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도 국내 자동차산업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025년까지 3년간 63조 원을 투자키로 했고 롯데그룹과 한화그룹 역시 각각 37조 원과 37조6천억 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기간 삼성그룹에서만 청년을 중심으로 8만 개의 일자리가 나올 전망이고 한화그룹 역시 기계, 항공, 화학, 금융 등 전 사업 부분에 걸쳐 매년 4천 명씩 5년간 2만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하게 흔들리면서 물가 불안과 경기 침체가 국내경제 위기를 불러오는 시기에 내놓은 대기업들의 이러한 국내 투자 확대는 국가 위기 동참을 통한 극복 확대의 마중물이 될 수 있기에 반길 일임이 분명하다. 기업들의 투자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역할 역시 더욱 중요해졌음은 물론이다.

특히 비수도권 지자체로선 대기업들의 이 같은 결정이 지역경제 활성화란 긍정적인 역할 확대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투자유치를 통한 고용 확대는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활을 걸고 매달리고 있는 당면현안이기 때문이다. 민간이 주도하면 정부가 지원한다는 새 정부의 경제정책기조에 더해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보다 강력하고 적극적인 정부 역할을 기대한다. 규제 혁신을 통해 기업의 자유로운 투자와 경제활동을 보장하는 것 못지않게 투자효율의 극대화라는 기업이익에 부합하고 위기의 지역경제에도 도움을 주는 방안이 무엇인지 정부는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