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의 청년정책과 귀농귀촌 지원 활성화 등에 힘입어 수도권과 충청권의 20대 젊은 층 전입 비율이 꾸준히 증가해온 것으로 분석됐다.

12일 전북연구원이 발표한 ‘전북의 14개 시군별 인구이동 특성과 대응 방안’ 이슈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타 시·도에서 완주군으로 주소지를 옮긴 전입 인구는 지난 2020년에 2,045세대에 총 3,170명을 기록했다.

세대주별 연령대는 20대와 30대, 40대 등 젊은 층 전입이 1,323세대로, 전체 전입세대의 64.7%를 차지했다. 타 시·도에서 완주군으로 전입해온 사람 3명 중 2명가량은 2040세대인 셈이다.

특히, 세대주의 연령이 20대인 젊은 층의 완주군 전입 비율은 10년 전인 2010년에는 14.3%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20.4%로 급증해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전입인구 3,170명의 출신지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1,444명)과 충청권(784명)이 다수를 점했다.

서울(16.1%)과 경기(24.9%) 등 수도권 출신의 전입 비율이 41.0%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충남(10.4%)과 대전(8.0%) 등 충청권 출신도 18.4%에 달했다. 이밖에 전남(7.4%)과 광주(6.8%) 등지의 전입이 뒤를 이었다.

타 시·도에서 완주군으로 전입해온 사유로는 직업(37.1%)과 가족(28.0%), 주택(16.3%)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귀농·귀촌 지원 정책 강화와 함께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정주여건 개선 등 여러 시책이 맞물리면서 직업이나 가족을 위한 전입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이와 관련, “최근 10년 동안 충청권과의 인구이동이 증가하고 있어 전북 동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행정수도 배후거점을 조성해 유동인구, 체류인구 등 관계인구 유치를 통한 인구활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구원은 또 “전입·전출에 따른 사회적 인구특성 외에도 출생·사망에 따른 자연적 인구특성을 연계한 종합적 분석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완주군의 한 관계자는 “인구정책의 패러다임이 인구증대에서 인구관리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관련 내용을 잘 분석해 향후 인구정책 종합계획에 참고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완주군에서는 전입지원 사업으로 전입한 주민에게 로컬푸드 꾸러미 지원, 전입학생 생활안정장학금, 전입 6개월 이상 기관, 단체, 기업체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적극 펼치고 있다./완주=임연선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