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대로라면 전북에 전주시만 남고 나머지 모든 13개 시도가 모두 소멸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봄호 에서 통계청의 주민등록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228개 중 ‘소멸위험지역’은 113곳(49.6%)으로 가장 최근 조사였던 2020년과 비교해 11개 기초기자체가 이번 조사에서 새로 소멸위험에 진입한 것으로 나왔다.

특히 이중 전북의 익산시와 군산시 2곳이 새롭게 소멸위기 지역에 포함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올 3월 기준 이들 지역의 소멸위험지수가 각각 0.48과 0.49로 소멸위험진입(0.2~0.5 미만)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도내 전체 14개 시·군 중 전주시(소멸주의·0.5~1.0 미만)를 제외한 13곳이 소멸위험진입, 또는 소멸 고위험(0.2 미만) 지역으로 분류됐다.

군산 등의 제조업 붕괴로 인한 급격한 인구 감소 등을 들어 지방소멸위험이 양적인 확산 단계를 넘어 질적인 심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양상이라고 분석한 고용정보원은 고령인구 급증에 더해 지역의 기간산업 붕괴로 인한 청년인구의 탈지방화가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만큼 소멸 위험을 높이는 일자리와 관련한 구조적 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지역의 최대 현안이자 난제라 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제공 확대만이 결국 유일한 돌파구란 의미다.

한때 전국 5대 도시의 위상을 갖기도 했던 전북이 인구 180만 명도 지키지 못하는 현실 앞에 현재로선 그 하락의 끝이 어디일지 조차 가늠하기 힘든 최악에 직면해 있다. 그리고 이 위기는 전북뿐만이 아닌 전국 비수도권 지자체 모두의 당면 위기가 되고 있다. 정부가 오는 8월 1조7500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배분한다고 하지만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도 인구유출을 막고 지역경제회복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이유에서다. 더구나 기금액도 지자체 투자계획에 따라 최대 4배 이상 차이가 나면서 또다른 논란이 일 가능성이 적지 않고 현금 나눠주기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수도권인구분산에서부터 지역인구 감소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일자리정책 대변화에 이르기 까지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할 범정부차원의 논의가 서둘러져야 한다. 지자체 대처만으론 절대 지방소멸을 막을 수 없다. 더 많은 고민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