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오는 2024학년도 대입전형에서 수도권은 정시모집이, 지방대는 수시모집비율이 늘어나게 된다는 발표에 대해 지방대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수도권 대학들의 정시비중 확대는 수시 미충원 인원까지 흡수할 수 있어 지방대미달현상을 가속화시킬 가능성이 높아서다. 지방대위기가 현실이 된지 이미 오래지만 정부의 정책을 통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 지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교협은 지난 26일 학령인구감소로 인한 대학 등록률 하락에 대응하기 위해 비수도권 대학의 자체 조정을 결정했다. 현재 고교 2학년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4학년 대입정원은 41만3천882명으로 올해 고3보다 2만5천628명 적고 이중 대입 정시 비중은 21%지만 수도권 을 대상으로 하면 정시 모집인원 비중은 2023학년도 35.3%에서 2024년 35.6%로 0.3%포인트 오르게 된다. 비수도권 비중 11.9%의 거의 3배다. 지방의 수시모집 확대가 신입생 선점의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란 전망도 있지만 그보다는 수도권 대학들이 수시에서 뽑지 못한 인원까지 정시에서 흡수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기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란 걱정이 더 크다.   
실제 비수도권 대학들이 스스로 정원을 줄이면서 까지 자구노력에 나섰음에도 수도권 대학들이 정시를 확대하면서 특수목적고·자율형사립고 등의 상위권 학생들만 유리하게 됐고 지방대들과의 양극화는 오히려 심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능 반영 비중을 줄인 수시모집을 통해 합격한 학생들은 정시에 지원할 수 없다는 점을 우려한 수험생들이 지방대 수시 지원을 포기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어서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정시모집 비율이 지금보다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있었지만 최근 인수위는 수도권 주요대학 정시확대가 지방대신입생 충원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건의 들을 받아들여 일단 현행 수준을 유지하면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이다. 
정시확대는 수능경쟁을 불러온다. 그리고 이는 사교육을 통한 입시경쟁을 필연적으로 부추기게 된다. 내신 비중이 큰 수시모집 전형 확대가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일선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극단의 경쟁을 부추기는 정책은 결국 교육을 망치는 정책임을 명심해야 한다. 백년을 보고 계획하는 교육 아닌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