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대학을 연계한 지역혁신기반 조성과 인재 육성 지원을 위한 정부의 ‘지역혁신플랫폼’ 선정 사업에서 전북이 탈락했다. 도와 대학들이 그동안 지역의 핵심 산업분야 수요를 분석·검토하고 대학교육혁신 방안마련, 사업 참여 기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계획의 완성도를 확대하는 등 나름 준비를 해왔다고 했지만 지난 18일 정부발표에 전북은 없었다.

더욱이 이사업은 교육부가 지난 2020년부터 시작했다. 지자체와 대학 및 지역혁신기관들이 산학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을 결정하면 가능성 여부를 검토해 5년 동안 매년 국비 300억 원(복수형 400억 원)을 지원하고 지자체도 전체 사업비의 30%를 부담토록 하면서 전국 광역지자체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첫해 광주·전남과 울산·경남, 충북을 시작으로 지난해 대전·세종·충남, 그리고 올해 사업이 사실상 결정된 강원과 대구·경북 2곳을 빼고 나면 전국적으로 지역플랫폼 사업에서 제외된 지역은 전북을 비롯해 부산, 제주 등 단 3곳에 불과하다. 부산은 한국 제2의 도시다. 제주는 국제 관광도시로 이미 충분한 발전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지역이다. 전북이 처한 현실을 감안할 때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드시 정부 결정을 얻어내야 하는 마지막 남은 위기의 지자체란 시급성과 필요성이 있었음에도 전북의 연합체들은 이를 관철시키지 못한 것이다.

준비와 의지부족,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에 다름 아니기에 허탈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전북은 주력산업인 자동차, 기계 및 소부장 산업의 첨단산업화와 수소·재생 에너지 산업들을 연결하는 지역플랫폼 사업의 육성·지원 당위성을 강조하고도 정부 선택을 받지 못했다. 지역미래 먹을거리 핵심인 이들 사업의 성공을 위해선 중앙정부 재정지원과 함께 지자체 대응 투자가 있어야 하고, 대학은 연구 개발과 함께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해 내야 함에도 이를 설득하지 못한 것이기에 부정적 파장에 대한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전북의 지역혁신플랫폼 준비와 계획이 타도에 비해 얼마나 허술하고 형식적이었는지 확연히 드러났다. 전북의 모든 혁신 미래 성장에 대한 청사진이 희망 고문일수도 있다는 의심이 들 정도다. 3년을 준비하고도 탈락했다. 이런 상황이어도 ‘밝은 미래 전북’을 말해야 하는지 참으로 답답할 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