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농번기를 맞아 농자재가격이 급등, 농가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농촌 인력난에 인건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은 상황이라 차라리 올해 농사를 포기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지역의 농촌출신 도의원들까지 나서서 지자체 차원의 대책마련을 촉구할 만큼 상황이 심각하다.

최근 전북도의회 389회 임시회에선 농민들이 맘 놓고 농사에 전념할 수 있도록 농자재 가격 인상에 대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이 있었다. 지난해 1만600원 하던 요소비료 20㎏ 한 포대 가격은 올해엔 1만8300원으로 무려 173%가 올랐고 복합비료 역시 시중 거래 가격은 2만6천3백 원으로 전년의 1만1000원 보다 139%가 인상됐다.

여기에 국제유가 상승으로 면세유 역시 전년 대비 30%이상 올랐고 제초제도 40%가까이 소매가격이 상승했다. 농업용 파이프 가격도 최고 75%가 오른 가격에 거래된다고 한다. 계속된 가격 상승을 예상한 중간상인들의 매점매석이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나온다. 지난해 농번기에도 농자재가격이 폭등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던 터라 올해도 어김없이 반복되는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다.

더구나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노동자 입국차질로 하루 인건비는 15만원을 준다 해도 농촌에선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운 실정이다. 농자재 값 인상과 인건비 상승 은 농산물 생산비에 고스란히 반영될 수밖에 없다. 재배 농가는 물론 일반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단 점에서 여간 우려스럽지 않다.

일반 논농사나 밭농사는 물론이고 각종 병해충 때문에 노지재배가 힘든 고추농사 등의 비닐하우스 농사에 까지 자재가격 폭등이 타격을 주면서 농촌이 고통을 받고 있고 이로 인해 농사포기라는 극단의 선택이 이어질 경우의 후폭풍은 더욱 심각한 위기를 초래 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무기질 비료 인상분의 80%보조를 밝혔지만 농가가 필요로 하는 비료는 무기질 비료뿐이 아니다. 다른 비료들에 대한 가격 보조 확대와 함께 시설 하우스를 포기하는 농가가 더 이상 늘지 않도록 지원 단가를 재조정 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중장기육성계획 수립과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농사짓기가 가능토록 해야 한다. 부가가치 떨어지는 단순한 1차 산업이 아닌 식량안보와 직결된 농업이란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