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경제 성장 지수가 10년 넘게 전국 평균 이하의 저성장기조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성장 정체를 넘어 침체 가속화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북·광주·전남 지역의 경제 현안과 대응과제 점검을 위해 개최한 ‘제2차 지역경제포럼’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호남의 성장 잠재력지수(RGPI)는 지난 2015년 전국 꼴찌인 0.86에서 지난 2020년 0.95를 기록하면서 4위로 올라섰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에는 미치지 못했다.

특히 전북의 지수는 2010년 이후 단 한차례도 1이상을 기록하지 못했다. 성장잠재력은 인력, 기술력, 토지, 자본 등의 모든 생산 자원을 동원하여 최대한 달성할 수 있는 성장 능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1을 넘으면 전국 평균이상의 역량을 가진 것을 의미하는데 전북은 10년 이상 이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한국 경제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고 그 직격탄은 또다시 지역을 가장 먼저 향하게 될 전망이다. 중장기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과 대책이 과제가 됐다. 더욱이 이 자료에 따르면 전체 GRDP에서 호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9.6%에서 2015년 9.1%, 2020년 8.9%로 계속 떨어졌다. 정부가 지출한 연구개발 투자액 역시 전체 227조 원 중 호남 배정 금액은 18조원으로 고작 8.0%였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에도 호남권에 극히 인색한 지속적인 불평등 정책을 다시 한 번 확인시킨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정부가 주도해도 쉽지 않은 일에 이유 없는 차등지원의 불이익 까지 감수하며 버티라 한다면 너무한 일이다. 지역 주력산업이 문을 닫거나 성장 정체 위기에 빠졌고 신 성장육성 사업들은 이제 시작이라 잠재력 회복에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전북의 경우 그 기간이 너무 길다. 젊은이들이 고향을 등지면서 하루가 다르게 인구가 감소하는 근본 이유도 지역 미래성장에 대한 불투명성에 실망해서다.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실질적으로 끌어 올려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속도를 내야 한다. 산업구조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지자체 노력에 더해 보다 과감한 지역균형발전 정책 수립을 위한 정부의지가 지금 서둘러져야 한다. 호남 역차별, 이제 그만할 때 됐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