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의 완전 정상화를 위해선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장기로드맵의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내년1월 재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사전 준비작업이 진행 중이긴 하지만 예전의 군산조선소 위용을 회복하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이 지원을 비롯해 협력사들의 조속한 결단을 끌어내기 위한 확실한 믿음을 주는 노력들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내년 1월 재가동이 결정됐지만 한때 86개 협력회사에 5천여 명의 근로자가 근무했던 군산조선소를 재건시키는 일은 그간의 침묵 기간 이상이 소요될 수도 있을 만큼 상황은 그리 녹녹치 않은 게 사실이다.

지자체에선 일단 국비·지방비 등 총 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기술인력 양성 교육에 나서기로 했지만 인력난은 여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타업종에 비해 조선소 노동자들이 긴 노동시간에 높은 노동강도에 시달려야 함에도 임금이 그리 높지 않아서다. 여기에 조선업이 다시 불황에 빠질 경우 다시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 역시 군산조선소 인력 양성이나 기업이전 결정의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가 이 같은 우려를 감안해 군산조선소의 완전 정상화를 위한 밑작업을 서둘겠다고 밝혔지만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도는 우선 군산조선소 재가동 협약으로 내년 1월 조선소가 일부 재가동에 들어가지만, 전면 재가동 까지는 상당 기간이 걸릴 것이란 판단에 따라 군산시가 최근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추가 연장된 점을 활용해 관련 인프라 확보 및 추가 인력양성에 나서기로 했다.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 외 군산조선소 인프라 회복을 위한 협력업체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군산조선소를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로 구축하기 위해 관련 용역이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예산 확보에 나설 방침임을 밝히기도 했다. 현대중공업 역시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협력업체 선정 작업에 착수했으며 다음달 설비보수를 위한 발주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지자체는 물론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만으론 안 된다. 일부 재가동이 아닌 완전재가동을 목표로 준비하고 설득해야만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단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력양성과 함께 떠난 노동자들이 다시 군산으로 돌아와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가 힘을 실어줘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