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국내외 여건의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고물가 가능성이 이미 예고됐다고 하지만 올 들어서도 꺾이지 않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4%대로 까지 치솟을 것이란 예상까지 나온다. 정부도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3월 물가가 석유류를 중심으로 상승 폭이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상태다. 지난해 10월 3.2%로 9년 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7%까지 5개월 연속 3% 후반 대를 유지해 왔다.

국제유가 상승 직격탄은 10주 이상 일선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시름이 깊어진지 오래다. 주유소 가격표시판 보기가 겁날 정도다. 대형화물차 사업자들은 차라리 운행을 하지 않는 게 적자폭을 줄이는 길이라는 푸념과 불만을 내놓는다. 수입 곡물가격 상승과 공급차질 역시 국내 가공식품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주면서 이미 가격이 들썩이고 있고 이는 곧바로 개인서비스가격 인상을 가져오는 부정적 상황을 우려케 한다. 굳이 수치를 들먹이지 않아도 이미 서민가계들은 물가상승을 충분하고 심각하게 체감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국제유가가 국내 석유류 가격에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는 점을 감안하며 석유류 가격 상승세는 앞으로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의 별도 조치가 없을 경우 소비자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음이다. 이미 한차례 유류세를 인하했고 곡물수급 안정을 위한 정부차원의 대책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보다 빠른 속도로 물가가 올라 효과는 반감됐다. 예기치 못한 전쟁에 원자재가격이 오르고 국제 공급망차질이 더해지며 물가 상승을 압박하고 있다는 긴장감만 더할게 아니라 이의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더 시급한 이유다.

유류세 추가 인하를 비롯해 원활한 물자수급을 위한 할당관세 적용대상 확대에 이르기 까지 물가 상승억제를 위한 전 방위적인 대책이 서둘러져야 한다. 더욱이 지금 고물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양적완화 정책 등 시중 유동성 확대 정책 지속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 전쟁이 끝나도 물가를 잡을 수 없을 것이란 우려가 나올 정도다. 정권 교체기 혼란으로 물가안정정책이 뒷전으로 밀린 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서민가계가 물가 폭등에 고통 받고 있다. 인플레이션 못 잡는 정권은 망했다. 꼭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