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영농철이 다가오고 있지만 농촌일손 부족에 따른 고통과 혼란을 올해도 피해 가지 못할 전망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외국인노동자 입국이 급격히 줄어든 것은 물론 인건비까지 치솟으면서 가뜩이나 힘든 농가 부담을 가중시키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그나마 활용 가능한 농촌인력들이 6·1지방선거에 동원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올봄 농촌인력난을 더욱 부채질 하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전북도가 공공부문 19만 명의 인력지원을 담당할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현재 30개소에서 32개소로 확대하는 것을 비롯해 도 단위 자체 농촌인력 중개센터를 신규 운영키로 하는 대책을 내놓기는 했다. 또 올 상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1,741명을 배정받아 지난해 상반기 521명보다 3배 이상 늘었고 계절근로자 근로 기간을 현재 5개월에서 8개월로 연장하는 방안을 통해 안정적인 농촌일손 확보에 나서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하지만 농촌 고령화로 인한 일손 부족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또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 공백이 벌써 3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농촌에선 일할 사람을 구하기 위한 전쟁이 예고되고 있다. 더욱이 일손 부족은 인건비 인상으로 이어져 평소 8~9만 원 하던 하루 품삯은 최근 15만 원까지 올랐다고 한다.

우리나라 전체 농가 인구에서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42.3%까지 늘어났다. 농가 인구 10명 중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자로 이런 현상은 향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청년인구 유입이나 외국인 근로자들의 원만한 투입이 없다면 농촌 공동화는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음을 단적으로 예측게 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강소농 육성을 통해 농촌에서 희망을 찾도록 하겠다는 전북도의 의지지만 일손조차 제대로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결실을 보기는 힘들다. 매년 되풀이되는 땜질식 농촌인력 대책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시급하다. 1년 내내 일손이 필요한 게 아닌 현실을 감안해 필요인력의 적기 공급을 위한 중장기농촌대책 마련에 정부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 확대 방안을 비롯해 공공주도 인력 중개센터 확대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농업 인력확보 방안을 서둘러야 한다. 농촌인력 부족 사태 더 이상 땜질 처방은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