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불안이 점점 물가 충격으로 현실화 될 조짐이다. 코로나19로 이미 흔들리던 물가 안정 기조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더 요동하는 추세다. 국내 물가는 이미 수개월 전부터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국가 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제계는 최근 3월을 기해 소비자물가가 4.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미 3.7%로 지난해 11월 이후 3%대 박스권에 머물렀지만 3월에는 이 박스권을 뚫고 4%대로 올라선다는 것이다. 4%를 넘는 물가상승률은 2011년 12월 4.2% 이후 10여 년 만에 처음이다.

이런 암울한 전망은 우선 코로나19로 인한 공급 측면의 애로가 작용한다는 분석에 기초한다. 석유류나 각종 원자재값은 상당 기간 오름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곡물 가격 등이 요동칠 조짐이다. 두바이유 선물가격은 4일 기준 배럴당 108달러를 돌파했고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전보다 20% 오른 가격이다. 이 추세는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 여파는 머잖아 우리나라에도 미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미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감내하기 힘든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이어가는 형국이다. 만약 4%대로 올라선다면 그 후유증은 심각할 수 있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다. 한국 경제는 그간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길어지면 전 세계 교역이 위축되고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경기후퇴가 불가피한 상황이 된다.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하는 최악의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리 경제를 덮친다는 이야기다.

물가는 민생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은 서민들을 더 큰 곤경으로 몰아넣을 것이다. 이제 정부의 시간이다. 정부가 어떤 정책을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많이 달라진다. 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장하고 인하율도 더 낮추기로 한 것은 긍정적인 조치다.

특히 앞으로 대통령 선거와 새 정부 출범이 예정돼 있는 만큼 자칫 정책 방향이 흔들릴 수 있다. 정부는 물론 정치권은 여야를 떠나 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정쟁으로 인해 물가가 치솟고 서민생계가 고통을 받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