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환경 보전 문제로 터덕였던 새만금 신공항건설사업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함에 따라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지난달 28일 환경부가 조건부 동의를 담은 협의 내용을 국토부에 전달해 최종 협의가 마무리된 것으로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이 공항 건설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를 제기해 보완 대책을 촉구한 지 5개월여 만이다.

도는 목표했던 2024년 초 착공, 2028년 개항에 차질이 없도록 기획재정부의 사업비 협의를 재개키로 하는 한편 국토부 항공 정책심의위원회 심의, 기본계획 고시 등 후속 절차를 밟아 나가기로 했다. 이번 전략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제기된 환경보완대책과 관련된 여러 의견에 대해서 소홀히 하지 않고 새만금 국제공항이 세계적 친환경 명품공항으로 지어질 수 있도록 국토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새만금 신공항 건설은 그동안 새만금 개발과 함께 반드시 동시 추진해야 했을 사업임에도 정치권의 비협조와 환경문제로 여러 차례 무산 위기에까지 몰리며 20여 년을 끌어온 전북의 숙원 사업이다. 지난 2019년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아 비로소 추진이 가시화됐지만, 지금은 사업의 타당성과 필요성이 재조명되면서 완공 시기를 앞당긴 조기 개항 요구까지 나올 만큼 국가적으로도 반드시 서둘러야 할 사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비록 환경부의 조건부 동의이긴 하지만 본격적인 사업 추진 절차에 돌입할 수 있게 된 데 대해 사업의 시급성에 비추어 다행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잠시라도 사업이 멈추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한다. 특히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이 요구한 공항 신설계획 백지화가 수용되지는 않았지만, 사업중단의 핵심 쟁점이었던 동식물과 갯벌, 조류 등의 생태환경 보존대책 보완은 공사 기간 단축 노력에 대해 반드시 지켜져야 할 과제가 됐다. 환경부가 정치적 결정을 내렸다며 환경단체들이 반발하는 건 지금의 환경 보존대책에 많은 문제가 있고 정부가 마련하겠다는 향후 보완책과 관련해서도 충분한 대안이 되지 못할 것이란 불신이 깔려 있어서다. 공항백지화가 답이 아니듯 경제 논리만을 앞세운 사업강행 역시 부작용을 낳는다. 무작정 발목 잡기가 아닌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에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 새만금 신공항 건설이 ‘환경을 살린 성공적 개발’로 불릴 수 있도록 더 많이 고민하고 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