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인구 절벽이 현실이 된 가운데 지난해 전북인구 7,600명이 자연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아수 7,500명보다 100여명이 많은 것은 것으로 하루 평균 20.5명이 태어나고 있지만 사망자수가 41.3명에 달해 자연감소율이 가팔라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은 23일 ‘2021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를 통해 지난해 전북지역 출생아수는 전년보다 700명 감소한7500명이었고 사망자수는 1만5100명으로 전년보다 400명이 늘었다고 밝혔다.

여자 한명이 가임기간(15세~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합계 출산율은 전국 도단위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낮은 0.06%였고 인구 1000명에 대한 1년 동안의 출생아수를 나타낸 조출생률은 전년보다 0.3명 줄어든 4.2명으로 전국 17대 시·도 가운데 꼴찌였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0.81%보다 한참 낮은 출산율에 조출생률 인구마저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감소한다는 것은 인구 절벽이 타지자체에 비해 더욱 심각한 현실로 다가올 가능성이 그 만큼 높다는 의미다. 지난해 한국의 출생아 수가 1년 전(27만2300명)보다 4.3% 감소한 26만500명을 기록하면서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지만 이 가운데서도 전북의 경우 모든 출생과 관련 지표가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빠르고 심각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기에 우려스러운 것이다.

당초 정부는 인구감소 시점을 2028년이라고 전망했지만 자연감소는 이미 2년 전부터 가시화됐고 그 속도 역시 예상 보다 빠르다. 전북을 비롯한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 감소는 정부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마련해 지원해야 할 정도로 위기의 정도가 심하다. 저 출산·고령화와 관련된 대책수립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2020년 까지 투입된 예산만 380조원을 넘었음에도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된 게 사실이라 이번의 지방소멸위기 대책에 대한 회의적 시각 역시 적지 않다. 획기적이고 파격적으로 국민 개개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저 출산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백약이 무효란 비관적 지적이 일리가 있는 이유다.

당장의 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감당 못할 사교육비에서부터 취업, 부동산 문제에 이르기 까지 범국가적 차원에서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 ‘무자식 상팔자’란 말이 나오는 건 정부대책이 먹히지 않는단 의미다. 당장 체감 못할 돈만 뿌린다고 될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