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청년인구 유출 증가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 저 출산, 고령화에 이미 저성장 위기에 당면한 지역의 입장에서 청년인구 유출의 끝은 결국 지역소멸이기에 참으로 우려스러운 국면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전국 시도별 연령별 순 이동에서 도내 20대 청년층의 순유출은 -3.5%였다. 전남, 경남에 이은 전국 3번째였다. 특히 전북은 이들 청년인구 뿐 아니라 전체 인구에 있어서도 전입자수가 전년보다 10%이상 감소한 22만4000여명이었던데 반해 지역을 떠난 전출인구가 23만 명에 달해 결국 전북인구는 1년만에 6000여명이 감소한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전북 청년들이 지역을 등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일자리 때문이다. 일반인들의 탈 전북역시 주택과 직업, 가족의 이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먹고살 문제 해결 최상단에 위치한 일자리문제가 해결되지 않다보니 결국 직업을 찾기 위해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고질적인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당장도 힘들고 그렇다고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은 지역에서 조금만 더 버티라고 붙잡을 수도 없어 그저 두 손 놓고 있을 수밖에 없는 게 전북의 현실이기에 암담하기만 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021년도 공시대상 기업집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 71곳 중 62곳의 본사와  지난해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총매출액의 86.9%를 차지하는 743개 기업이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그나마 비수도권에 위치한 나머지 기업들중 전북에 본사를 둔 기업은 고작 11개로 전국 17개시도 중 14번째로 매출액 비중 0.3%의 전국 최하위권 이었다.

지역의 청년들이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고 지역에서 인재를 구하지 못한 기업들이 풍부한 인력을 쫓아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다시 사업장을 옮기기 까지 하는 리쇼어링(re-shoring) 현상까지 나타나는 실정이다.

지역의 일자리 부족에 따른 청년인구 유출 증가는 지역의 성장가능성을 막는 가장 큰 요인이다. 여기에 일자리에 대한 눈높이는 올라가고 있는데 양질의 일자리 찾기가 갈수록 힘들어지는 지역의 변화지 않는 노동환경은 희망마저 잃게 하고 있다. 한국은 수도권공화국이 아니다. 비수도권 일자리확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 지역의 2030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확실한 대책 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