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과 함께 탄소시대를 열었던 효성이 최근 기업 성장을 위한 ‘수소산업’ 진출의 파트너로 전남도를 선택하면서 수소산업 최적지를 자부했던 전북의 안일한 대응에 대한 비난이 일고 있다. 지난 2013년 전주에 둥지를 틀고 한국탄소산업의 시작과 성장을 지역과 함께 했던 효성과의 인연이지만 기업 이윤의 극대화를 위한 최선의 선택과정에서 전북을 배제한 것이기에 충격이 크다.  

더구나 전북은 그동안 그린수소 산업의 육성과 성장을 생산, 저장, 유통, 공급이 가능한 최적지로 홍보해왔던 터고 10년 동안 전주시, 전북도와 긴밀한 협조를 하며 탄소산업 육성에 동고동락했던 효성 역시 전북이 수소산업에 들이는 정성과 노력을 모를 리는 없었을 터다. 그런데도 극비리에 사업을 추진하고 1조 원대 투자 사업 파트너로 전남을 선택한 것은 유력기업 한곳이 수소산업기지로 전북을 등졌다는 결과 이상으로 그 이유 등이 공유되며 관련 업계에 미칠 부정적 파장이 간단치 않을 것임을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기에 우려스럽다.

전북도가 사전에 이러한 움직임이나 정보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제대로 된 대응조차 하지 못했단 사실이 알려지면서 청내 부서간 소통부재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과연 이대로 수소산업이 안착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 까지 일 정도다. 지금 전국 지자체에 불고 있는 수소경제 열풍에 전북이 설 땅이 있겠느냐는 것이다.

정부가 수소경제를 혁신 성장 전략 투자 대상으로 정해 지원키로 한 방침이후 지자체마다 수소차, 연료전지, 수소실증도시, 수소 관련 제품 시험·인증 등 수소 산업 육성 정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구시는 2015년까지 10조원대의 수소산업 생태계구축계획을 발표했고 이웃 전남 역시 '전남 수소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통해 오는 2031년까지 19조 원을 투입해 수소산업 구축과 11만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경북, 경남, 부산, 대전, 울산, 강원 등도 수소 발전을 비롯해 수도 경제 생태계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태다. 과열경쟁에 중복투자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수소산업 유치에 사활을 건 지자체간 경쟁이 불을 뿜고 있다. 이대론 안 된다. 전북도의 수소산업 육성계획이 정말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을지 철저히 점검해볼 일이다. 두 손 놓고 당하는 일은 이번으로 끝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