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가에 불어닥치고 있는 ‘586 용퇴론’이 지역정치권에서도 작지 않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된 이 용퇴론은 이재명 후보의 대선 지지율이 정체 국면에 빠져 좀처럼 상승기류를 타지 못하는 데서 비롯됐다. 코앞에 다가온 대선서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처지에 몰리자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나온 반성의 메시지다.

지난 23일 같은 당 김종민 의원은 “정권 교체를 넘어 정치교체를 해야 한다”며 구체적으로 586세대는 민주당이 집권하더라도 임명직을 맡지 말아야 하며 정치를 바꾸지 못할 바에는 후배들에게 물려주고 그만두자는 주장을 폈다.

이는 2030세대들이 현재 기득권층이 된 여당과 정부 586세대들에 특히 불만을 갖고 민주당을 외면하는 흐름에 대한 대응이다. 실제로 이 이야기가 나온 직후 이재명 후보의 측근 그룹인 7인회가 24일 백의종군을 선언하며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전북 정치권 역시 586이 주류를 형성한다고 보아야 한다. 물론 50대 전체를 하나로 묶을 수는 없겠지만 상당수 정치인들이 1980년대 대학생으로 민주화 운동을 주도한 50대 나이의 사람들이다. 국회의원은 물론 지방 정치 엘리트 상당수가 이에 속한다. 이들은 촘촘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역정치권을 주도해온 게 사실이다.

당장 올해 지방선거와 2년 후 총선이 기다리는 상황서 586 용퇴와 그에 따른 인적 쇄신이 과연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586세대들이 워낙 ‘장기 집권’을 하며 철옹성을 쌓아온 점을 감안하면 회의적인 시각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전북 정치권의 인적 쇄신에 대한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우선 도민들의 부정적인 정서다. 더불어민주당 독주 구도를 만들었음에도 지역 현안들은 제자리걸음이다. 또 전북 정치권의 힘은 그 어느 때보다 허약하다는 인식도 있다. 여당 내 전북 국회의원들의 입지는 매우 비좁다. 존재감이 희미한 지경이다.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을 향한 여론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무능과 부도덕이라는 이미지가 따라다니는 현실이다.

대선 결과는 곧 나오게 돼 있다. 그 이후는 지방 정치권의 쇄신이 화두가 될 것이다. 6월 지방선거와 2년 후 총선이 시험대가 될 것이다. 가능하면 도내에서도 참신하고 젊은 인재들이 많이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권자들도 정치인 하나하나 공과를 철저히 따져 선거에서 심판을 내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이 정체 국면이 이어질 뿐이다. 주류 집단이 누구냐에 따라 지역의 미래는 크게 달라진다는 점을 유념하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