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발전은 재생에너지 사업의 핵심이다. 영국 등 선진국은 일찌감치 이 분야에 눈을 돌려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까지 해상풍력 보급 목표를 12GW로 정하고 본격적 추진태세를 갖추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우리나라는 오는 2030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자리하게 된다. 전북도 이에 포함됐는데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은 2.4GW 규모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6개 프로젝트 중 하나다.

하지만 현실은 기대와는 거리가 있다. 지난 2010년 전 세계적인 해상풍력 설치 확대 흐름에 맞춰 이를 활성화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다. 그 이후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지는 못해 선진국에 비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마침 군산항을 서해안 해양풍력 발전단지 지원을 위한 거점 지원항만으로 육성하고 연구기관 컨트롤 타워와 하부구조물 성능평가센터 등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외부에 용역을 발주한 ‘전북 해상풍력산업 생태계 발전방안 연구’가 밝힌 내용이다. 연구용역은 또 전북 해상풍력 발전을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 확보와 전문기술인력 육성, 대학-연구기관 간 연계 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실 전북은 해상풍력 발전의 중심에 위치한다. 좁은 육지와 부족한 풍량으로 육상풍력이 한계에 부딪친 만큼 바다로 나아가는 게 현실적 대안이라는 평가다. 특히 전북의 바다는 서해안 중에서도 수심이 비교적 얕고 풍량도 많아 대형해상풍력단지 조성에 적합하다. 또 군산항이 거점항으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런 여건들을 감안할 때 군산항을 중심으로 한 해상풍력 대단지 조성은 매우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보아야 한다.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다. 우선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과 협조가 절대적이다. 어민들의 반발은 해상풍력이 넘어야 할 산이다. 따라서 적절한 보상과 사업 참여기회 등을 통해 주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또 연구기관과 핵심부품 생산시설의 유치, 기술인력 확보 방안 강구 등도 풀어야 할 숙제라고 할 것이다.

해상풍력의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미 선진국은 물론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투자가 활발하다. 전북으로서도 도전해볼 가치가 충분한 사업이다. 현 단계에서 중앙정부의 역할이 결정적이라고 하겠다. 우선 전북도와 군산시 등 해당 지방정부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 주민들과의 협조체제 구축 등 여건을 만들어가며 중앙정부와 기업들의 투자를 이끌어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