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전북도농축산식품국장

우리나라는 2000년 경기도 파주에서 66년 만에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했다. 당시 미비했던 구제역 대비책으로 충청지역까지 번지며 축산농가들이 큰 피해를 봤다. 그리고 2년 뒤인 2002년, 경기도 안성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약 16만 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되며 축산농가는 사상 최악의 한 해를 보내야 했다. 두 번의 뼈 아픈 구제역 사태 이후에도 예방·대응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서 축산농가는 2011년 34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을 매장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구제역은 소·돼지·염소 등 우제류(발굽이 2개인 동물) 동물의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면서 치사율이 최대 55%에 달하는 가축 제1종 법정전염병이다. 이는 보통 호흡기로 감염되기 때문에 무리에서 한 마리만 감염되더라도 나머지 가축에게 급속도로 번지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우선 국민 식생활과 밀접한 우유, 분유, 소·돼지고기 등 먹거리에 대한 국민 불신과 더불어 유제품과 축산물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제과·제빵, 정육, 음식점 등 식품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는 결국 장바구니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에도 악영향인 셈이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구제역이 발생한 국가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 규정에 따라 발생 사실을 즉각 통보해야 하고 수출도 중단되어 그 피해는 실로 막대하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구제역을 억제하는 방역시스템과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1934년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2000년대 이후 구제역은 빈번하게 창궐하지만 명확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다. 사실상 바이러스 감염을 사전에 막는 백신접종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구제역 백신접종은 2011년 이후 본격화됐다.

이에 전라북도는 백신 일제접종 및 상시접종 체계를 구축하고 구제역 항체 양성률 향상에 주력해 오고 있다. 소와 염소는 4월과 10월 일제접종을, 돼지는 상시 2회 접종체계를 구축하여 지난 2017년 2월 이후 구제역 청정지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90초면 다 아는 구제역 백신접종’ 동영상을 제작해 축산농가와 시·군 등을 통해 배포하고 이들의 방역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구제역 방역 최대예산인 192억 원을 확보해 소와 염소 약 55만3천 마리에 대한 백신 일제접종을 완료하는 한편 도내 가축방역 유관기관 25개소에 방역상황실을 설치·운영해 오고 있다. 여기에 주 3회 농식품부 주관의 영상회의를 통해 전북도-시·군 및 유관기관의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구축해 왔다.

한편, 항체 양성률은 소 99.0%, 염소 95.4%, 돼지 92.7%로 모든 축종에서 전국 평균(소 98.1%. 염소 89.7%, 돼지 92.0%)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특히, 소와 염소 항체 양성률은 전국 최고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해 전라북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오는 2월까지 ‘특별방역대책 강화기간’으로 지정하고 구제역에 대비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먼저 분뇨로 인한 구제역 확산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해 전국을 9개 권역으로 설정하고 권역 외의 분뇨 이동을 엄격히 제한한다. 또 도내 공동자원화시설과 배합사료공장 등 75개 축산관련 시설에 대한 선제적인 바이러스 검사에 나서고, 축산농가의 구제역 일제접종 여부 확인과 취약 분야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임인년(壬寅年) 새해가 밝았다. 전라북도는 중국과 몽골 등 주변국의 지속적인 구제역 발생에 예의주시하며 국내 유입 및 사전 차단에 대비한 촘촘한 방역망을 구축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축산농가들과 신뢰를 바탕으로 농장 차단방역을 유지하며 ‘5년 연속 구제역 제로(Zero) 청정 전북’ 만들기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