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요금 동결 등을 통해 생활물가를 안정시키겠다고 했음에도 물가불안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 문재인대통령이 12일 국무회의를 통해 거시경제가 상당히 양호하고 튼튼하지만 국제적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을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며 생활물가 안정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시할 만큼 상황은 녹녹치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 물가는 지난 4월부터 지난9월까지 6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가 예상했던 물가 상승률을 1.8% 목표달성은 이미 힘들게 됐다는 우려다. 특히 3분기 물가상승률은 2012년 1분기 때 3.0% 이후로 최고치인 2.6%에 달했고 4분기엔 전기요금 인상에 더한 연쇄 물가 인상압박 요인까지 더해지고 있다.

정부가 도시가스와 대중교통, 상하수도 요금 등의 공공요금 인상을 연말까지 동결키로 했지만 이미 국제유가는 올랐고 도시가스, 버스, 택시 업계 등의 지속적인 요금 인상 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 정부의 버티기가 어디까지 일지 알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에너지와 관련된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인한 가정필수품 가격이 들썩이면서 생활물가 오름세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는 것 역시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체감물가는 3.1%나 올라 5개월 연속 3%대다. 쌀, 마늘등 농수산물은 물론 수입쇠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 등은 이미 10%이상 급등했고 기본 생필품인 우유가격 인상에 이어 계란, 라면 등의 기본 생필품 가격도 불안해지고 있다. 물가불안 심리에 편승해 가격 담합 등의 못된 행위까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면서 물가불안심리를 부추기고 있다. 여기에 집값 폭등이 가져온 주거비 부담에 부채증가로 인한 경제 압박은 불안한 가정 경제를 더욱 위태롭게 하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위드코로나로의 전환을 앞당기면서 까지 서민경제회생을 서둘고 있지만 정작 통제할 수 없는 인플레이션은 맞게 된다면 더 큰 혼란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뛰는 물가 지금 관리하지 못하면 재앙수준의 민생위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는 경고를 새겨들어야 한다.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물가 안정 대책이 요구되는 지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