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북만의 새로운 농업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도의회 김정수 의원(익산2)은 7일 제385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이상기온 등 기후변화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 농민은 물론이고 소비자까지 피해를 보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는 전북만의 새로운 농업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전북은 기후변화로 인해 올해 1월과 4월에는 저온 피해가 6월 우박, 7월 호우, 8월 태풍 등 총 5건(3000ha)의 농작물 피해가 있었다.

특히 지난 8월말 가을장마로 인해 벼 도열병, 깨씨무늬병, 세균벼알마름병 등 병충해가 발생해 총 4만9000여ha에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김 의원은 지난해 환경부가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 2020’을 예로 들며 기후변화 현상과 영향, 취약성이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별 특성에 맞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 선진화와 생산 안전성 향상 등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면서 “농업 특성에 맞는 단기적 전략과 중장기적 전략으로 구분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 전북이 가장 최대의 장점은 농생명분야”라며 “우리 전북이 혁신성장의 주력으로 삼아야 할 분야는 농생명분야 산업생태계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의원은 이 같은 기후위기 속에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젊은 세대의 농촌 이탈을 우려했다.

그는 “현재 상태의 고령인구로는 이러한 급속한 변화를 따라가기가 매우 어렵고 청년농민은 자금과 경험 부족 등으로 대응에 한계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과 관련 예산투자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 대응 등 전북에 그린 바이오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농업관련부서와 전략산업부서의 전략적 협업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송하진 도지사는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농업재해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현 제도의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논의하는 등 사전·사후 대책을 마련해 추진중에 있다”며 “전북의 미래농업을 위해 민·관·대학·시군 등과 현재의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 기후변화와 미래농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답변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