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을 비롯한 농어촌지역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이 대도시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분석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전북의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56.2%로 전국 평균보다 14% 포인트 낮아 지진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집중적인 투자를 통한 내진율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국회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제출받은 '공공시설물 내진율 현황'에 따르면 17개 광역 자치단체의 공공시설 내진율은 61.8%로 중앙행정기관 72.7%에 비해 10.9%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광역 지자체별 공공시설물 내진율을 보면 세종특별자치시가 9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울산(89.6%), 서울(75.9%), 대구(74.7%), 광주(73.1%), 인천(72.5%), 부산(71.8%) 순으로 나타나는 등 대도시 지역 공공시설의 내진율은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전북(56.2%) 등 군단위 농어촌 기초 자치단체가 많은 지역의 내진율은 평균 보다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의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36.1%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으며 전남(43.1%), 경북(49.8%), 충남(52.8%), 충북(54.1%), 경남(55.9%) 등이 뒤를 이었다.

농어촌 지역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이 낮은 것은 내진설계 의무화 이전에 지어진 노후건물들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2020년말 현재 내진설계 대상 전국 공공시설 19만3075개소 중 13만5623개소가 내진 성능을 확보해 내진율은 70.2%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공공시설 평균 내진율은 2018년 62.3%, 2019년 67.2%, 2020년 70.2%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북은 2018년 47.4%, 2019년 54.2%, 2020년 56.2%의 내진율을 보였다.

학교 시설물 내진율 또한 2018년 36.7%, 2019년 49.0%, 2020년 55.8%로 매년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평균을 크게 밑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형석 국회의원은 "농어촌 지역 공공시설물이나 학교 시설물은 내진설계 기준이 엄격하지 않은 시기에 건립돼 내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며 "그러나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농어촌 지역 건축물과 학교 시설물의 내진율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3년간(2018~2019년)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은 총 271건이다. 전북의 경우 2018년 115건중 4건, 2019년 88건중 2건, 2020년 68건중 3건이 발생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