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평양공동선언 3주년과 남북 동시 유엔가입 30주년이 맞는 9월, 멈춰선 한반도 평화시계가 움직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이달 말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남북대화 재개의 여건이 마련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오는 17일은 지난 1991년 제46차 유엔총회에서 남북이 유엔회원국 지위를 동시에 얻은 날이고, 19일은 남북 정상이 한반도 전 지역에서 전쟁위험 제거를 약속한 9·19 평양공동선언 3주년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런 기회로 남북 대화의 모멘텀이 이어지길 바라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최근 9·19 평양공동선언 3주년과 관련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해서는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이 하루빨리 복원되는 것이 중요한 만큼 다양한 계기를 통해서 남북관계를 복원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15일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통해 동북아시아 전체의 번영에 기여하는 ‘한반도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며 남은 임기 동안 남북관계를 일정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아직 참석 여부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문 대통령이 이달 말 제76회 유엔총회에 직접 참석한다면 국제사회에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 의지를 밝히며 북한에 대화 시그널을 보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북한이 어떻게 호응할지가 남북 대화 재개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27일 남북 통신선이 13개월 만에 복구되면서 대화의 청신호가 켜지기도 했지만, 한미연합훈련을 이유로 북한은 한 달 넘게 대화 시도에 묵묵부답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오는 14~15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차 방한하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문 대통령 예방시 한반도 평화구상 진전을 위한 중국의 지원사격을 요청할 수 있다. 또 14일 도쿄에서 열리는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에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3국 간 공조방안 논의하며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 얘기가 오갈 수 있다.

따라서 문 대통령으로서는 9월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