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문화 양극화 현상이 심화 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문화예술은 누구나 접할 수 있지만, 자본력이나 도시 규모에 따라 문화 경험의 차이가 크다. 

게다가 코로나19 장기화로 무료공연이나 문화체험이 줄줄이 중단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문화적 불평등이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지난 2월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0년 문화예술활동조사에 따르면 600만원 이상 최고 소득과 100만원 미만 최저 소득의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는 50.6%p에 달한다. 

지역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도 극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난해 읍·면 지역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46.5%인 반면, 대도시는 63.5%였다. 

대도시와 읍·면 지역의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가 2019년(12.7%)에 비해 17%p 벌어진 수치를 보였다.  

비슷한 현상은 전북에서도 나타난다. 

문화 경험의 차이를 줄이고자 정부와 지자체는 문화누리카드를 제공하고 있다. 

‘문화누리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인에게 10만원의 지원금을 제공해 영화, 공연, 여행,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역에는 모두 1509개 가맹점이 분포하고 있다.

2021년도 지원대상수는 13만 9611명, 수혜자수는 11만 2232명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카드 가맹점 대부분이 전주와 익산, 군산 등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1509개 가운데 전주에 535개 가맹점이 있다. 이어 익산 201개, 군산 169개, 남원 102개 순이다. 

올 8월 신규로 등록된 가맹점 역시 전주가 120개로 가장 많았고, 익산이 45개 군산은 36개였다.

이는 도시(전주)에 살아야만 문화 향유의 기회도 다양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실제 부안에서 8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 40대 학부모 A씨는 ‘문화누리카드’를 사용할만한 곳이 없다고 했다. 

기존에도 사용처가 다양하지 않았는데, 코로나19 발생으로 공연이나 체험행사까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A씨는 “코로나19로 생계가 막막한 요즘 같은 시기에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제공해주는 건 감사한 일이지만 사용할 곳이 많지 않아 잘 쓰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누리카드에 대한 유연한 사용방법이 모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단순히 지원금 제공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해 문화복지에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전북도가 진행하는 찾아가는 문화서비스의 확대와 코로나 상황에 맞춘 문화 향유 방식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전북대학교 정미경 사회학과 교수는 “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며 “문화적 불평등은 자본력과 지역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했던 문제였으며 현재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문화를 향유하는 방법이 이제 대면에서 비대면(디지털)으로 바뀐 만큼 지자체에서도 이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할 때”라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