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역 실정에 맞는 ‘공공택시 플랫폼(호출 프로그램)’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기업 위주 택시 호출 시장의 잠식에 대응하고, 자금의 역외 유출 및 택시운송업계의 경영안정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취지다.
전주시의회 김승섭(더불어민주당, 삼천1·2·3동) 의원은 12일 열린 제381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기업의 시장 진출로 어려움에 빠진 택시업계 종사자들의 실질 수익을 보장하고, 시민의 교통편의 증진을 위해 공공택시앱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주지역에서 운행 중인 3,858대의 택시 가운데 8.3%에 해당하는 322대가 ‘카카오T블루’ 가맹택시로 운행 중이다. 구체적으로, 전체 21개 법인택시 회사 중 7개 업체 320대와 개인택시 2대가 카카오택시로 영업을 하고 있다.
김 의원은 △과도한 수수료 납부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산업생태계 파괴 우려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카카오T블루와 계약을 맺은 택시는 1개월 수입의 3.3%를 가맹 수수료로 지급하고 있고, 업체별 매월 800만~1,000만원의 수수료를 내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이를 전체 업체로 환산할 경우 1개월 5,600만~7,000만원, 1년이면 6억7,000만~8억4,000만원이라는 계산이다.
수수료 환산 방식과 불공정 배차에 대한 의문점을 제기했다. 그는 “카카오T블루 택시가 티맵택시 등 다른 업체의 콜을 받아 영업을 진행하더라도 시스템상 배회영업으로 계산돼 카카오에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맹과 비가맹 택시간 불공정한 배차에 업계 및 기사간 갈등이나 출혈경쟁의 심화 등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현재 지자체나 택시조합에서 자체적으로 택시 플랫폼(공공콜앱)을 운영하거나 시도 중인 곳은 전국적으로 9곳”이라며 “지역 실정에 맞는 공공플랫폼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여 한다”고 전주시에 촉구했다.
김장천기자·kjch88@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