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했던 ‘전북 군산형 일자리 상생협약식’ 이후 1년 4개월 만에 ‘전북 군산형 일자리사업’이 정부의 지역일자리로 확정됐다. 이번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정은 주력산업 붕괴로 침체된 전북 경제에 활력과 재도약이라는 기회가 주어졌다.

▲선정 의미= 정부와 지자체의 행·재정적 지원을 받아 사업초기 안정적인 경영 및 생산활동이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정립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인센티브는 3400억원(15개 사업) 규모로 정부 건의 사업은 7개 사업에 985억원이다. 먼저 전기차산업의 핵심 기술개발을 위해 스마트모빌리티 협업센터 구축(330억원), 전기자동차 에너지 전주기 활용 기술개발(224억원), 공용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개발활용(209억원) 등 R&D를 지원한다.

사업초기 경영 안정을 위해 지방세 감면(49억원), 상생펀드 조성지원(400억원) 지역투자촉진보조금(427억원) 등이 지원되며 근로자 복지지원을 위한 공동근로복지지금 조성(76억원), 전기차 청년그린 일자리사업(78억원) 등이 추진된다.

또 이번 선정을 계기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튼튼한 경제구조를 만들기 위해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산업을 탈피해 친환경 전기차 중심의 산업으로 체질 개선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전기차산업은 ‘미래형 주력산업’으로 시장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미·중·EU를 중심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시장 또한 보조금·세제 등 다양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으로 2025년에는 연간 27만대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군산에는 800여개의 자동차 부품협력업체가 있고 자동차융합기술원, 탄소융합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군산대 기술혁신센터 등 연구기관과 새만금 주행시험장, 전기자율차 테스트베드 등 전기차 관련 기반시설이 집적화돼 있어 신차 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군산 외항, 새만금 신항만, 새만금공항 등 수출·물류 인프라를 갖출 수 있고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과 인접해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기대효과= 전북연구원은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생산 11조 4671억원, 부가가치 2조 8149억원, 취업유발 3만 6899명으로 분석하고 있다.

과거 한국 GM군산공장이 차지하던 총생산 및 수출액 비중과 전북 군산형 일자리 사업을 동일 지표로 비교시 생산과 직접고용은 81%, 수출은 152%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희망적인 것은 이번 정부 상생형 일자리 지정을 계기로 한국 GM군산 공장 폐쇄로 잃었던 일자리를 다시 회복, 그간 극심한 경제침체를 겪어야 했던 군산이 고용창출로 경제 재도약의 꿈이 가능해 졌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부터 510여명을 대규모 신규 채용할 계획으로 그동안 침체됐던 주변 상권, 연관 서비스업이 활기를 되찾아 빠른 경제회복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계획= 도는 지난 2020년 가치연계의 과정으로 상생협의회와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고, 참여기업 간 연계강화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준비과정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설비완공 및 생산준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신규인력을 채용하는 등 본격적으로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참여기업의 조기 안착을 지원한다.

올해는 특화 컨설팅을 통해 공동 생산협력, 공용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개발·활용, 부품고도화 등 R&D협력, 인프라 공동사용 및 공동인력 양성, 공동 마케팅 및 공동물류 협력 등 Value Chain 연계사업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노동자 이사회 참관제, 공동근로복지기금, 선진형 임금체계 도입 등 협약 이행방안을 마련해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전국적인 성공모델로 성장시키겠다는 구상이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