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유출 가속화로 생산성감소에 몸살을 앓고 있는 전북이 초고령사회의 빠른 진입과 일반의 재정건전성 악화까지 겹치며 사회적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인구의 급격한 유출로 빨라진 인구감소는 올 상반기 안에 180만 명 붕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단 우울한 예상까지 나왔다.

‘2020 전라북도 사회조사 결과분석 보고서’에 나타난 전북의 현실은 미래에 대한 심각한 걱정은 물론 당장의 위기 극복을 위해 특단의 대책이 서둘러져야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지난 2000년 인구 200만 명이 붕괴된 이후 전북도를 비롯해 14개 일선 시군 모두가 인구감소위기에 대처해야 한다며 나름의 대책을 추진해 왔지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었고 2017년 이후 감소세는 더욱 가팔라지면서 올해 안에 180만 명 선도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30대 이하 청년층이 주도하는 ‘탈 전북’현상은 활기찬 전북의 기대마저 무너뜨리는 요소가 되면서 생산인구감소에 따른 지역경쟁력 약화를 불가피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 농어촌 지역 시군을 중심으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전북은 사실상 인구절벽 단계에 접어들었고 이로 인한 지자체 소멸이 당면의 중장기 과제가 될 만큼 상황은 악화일로다.

더욱이 코로나19는 경제적으로 가뜩이나 힘든 전북에 치명타를 안겼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이 되면서 서민경제는 초토화됐다. 부채률이 1년 만에 1.5%포인트 증가하고 특히 5000만 원 이상 고액채무자가 2018년 32.5%에서 39.9%로 늘었지만 그 규모는 시간이 흐를수록 확대될 수밖에 없단 점에서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지역 미래경쟁력을 논하기 전에 당장 인구감소와 축소되는 경제력으로 희망을 잃어가는 전북의 어두운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인구감소가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고 지역경제위기 역시 비수도권 지자체들 대부분이 겪고 있는 공동의 문제라곤 하지만 그 피해를 가장 먼저 체감하는 지역이 전북이 될 수도 있다는 불행한 예측이 현실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지금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광역지자체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메가시티전략에서 조차 전북은 소외되고 있지 않은가. 총체적인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범정부차원의 대책에 앞서 당장 전북의 살길 모색에 지혜를 모으는 일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대로라면 정말 전북은 고사 할 수도 있음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