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감영 동편이 지난해 10월 7일 복원 기념식을 갖고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지난 2005년 논의가 시작된 이후 15년 만에 일부 나마 복원된 것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2021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서편과 남편부지 복원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전라감영 복원 논의 초기부터 위원회에서 활동한 이동희 전 전주역사박물관장에게 전라감영 전체부지 복원의 필요성에 대해 들었다.

전라감영 복원은 2005년부터 논의가 시작됐으나 감영 복원 범위 등을 둘러싼 논란으로 지지부진했다. 부지 전체를 복원하자는 의견과 일부를 복원하고 일부는 문화공간으로 구성하자는 의견이 맞서기도 했다.

“전라감영 복원추진위원회에서 일부 상징물만 남기고 문화시설로 만들자는 주장도 있었으며 역사 전문가들은 복원을 주장했다. 또 복원을 찬성했지만 그 안에서도 일부와 전체 복원 의견이 나뉘었다. 이런 답보 상태를 깨트린 계기는 선화당 위치 발견이었다. 국가기록원에서 발견한 도면은 복원에 결정적인 힘을 실었다.”

복원 논의가 시작된 후에도 선화당의 정확한 위치는 밝혀지지 않았다. 당시 선화당 위치를 알만한 사람들의 구술 조사결과, 대부분 회화나무 옆이라 했지만 결정적인 근거가 없었다. 당시 이동희 관장이 눈을 돌린 곳은 공문서가 보존돼 있는 국가기록원. 1928년 선화당 도면을 발견했지만 위치를 확인할 주변 건물이 기록돼 있지 않았다. 그러나 이어 찾은 1937년 도면은 선화당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었다.

“1937년 도면은 선화당에서 의사당 신축 건물로 가는 통로를 만드는 예산을 요청하기 위해 만든 도면이었다. 당연히 두 건물사이의 거리와 위치가 정확하게 표시돼 있었다. 선화당을 포함한 복원에 탄력이 붙을 수밖에 없었다.”

이후 선화당을 중심으로 한 동편 복원은 옛 도청사 철거에 이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서편 복원은 여전히 논란이 있었다. 전라감영 복원추진위원회에서 서편부지 활용에 대한 공모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복원과 거리가 먼 문화시설이 당선작으로 뽑혔다. 결국 위원회에서 이 안을 무효화시켰고 현재 전주시에서 서편부지 복원에 대한 용역을 주고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서편과 남편부지를 포함한 전체부지 복원이 필요하다. 복원된 전라감영의 역사적 자산은 다른 지역에서는 흉내조차 낼 수 없는 관광자산이다. 다른 지역 감영은 건물이 옛 것이지만 제자리에 있는 경우가 없다. ‘역사의 온전한 복원을 통한 관광’에 눈을 돌려야 한다. 조선시대 지방정부의 온전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곳은 대한민국에서 전라감영뿐. 전체부지 복원을 통한 국가 사적화는 꼭 가야할 길이다.”

김 시장도 전체부지 복원을 공언하고 있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철저한 고증을 통한 전체부지 복원을 위해 우선 서편 복원에 대한 분명한 청사진이 나와야 되고 완산경찰서를 포함한 남편 부지가 확보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북도와 전주시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주변 상인들의 동의는 중요하다. 전라감영 복원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복원이 완료된 동편의 활성화가 가장 필요하다. 전라감영 복원 성공이 상인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믿음이 생기도록 해야 한다. 한옥마을에 대한 투자가 계속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가 ‘줄을 잇는 관광객’의 모습이었다. 현재와 같이 단순한 문화시설 수준으로 접근해서는 안된다. 이달 말로 임기가 끝나는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나 관과 전문가, 시민이 함께하는 민관위원회 같은 협의체가 필요하다.”

2005년 전라감영 복원 논의가 시작된 이후 만들어진 위원회에 거의 빠지지 않았다는 이 전 관장. “전라감영 전체부지 복원을 통해 ‘조선시대 작은 정부의 온전한 모습’을 구현하는 일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라며 인터뷰를 마쳤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