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기후변화 대응'과 '그린뉴딜 1번지' 추진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송하진 도지사가 11일 간부회의에서 이와 관련한 시책 마련을 지시했다.

송하진 도지사는 이날 '해양쓰레기 관리체계 구축'과 '케냐프기반 차세대 바이오플라스틱 원천기술 개발'에 적극 나설 것을 강조했다.

현재 플라스틱을 비롯한 각종 해양쓰레기의 60%가 육지에서 흘러들어오고 있는 심각한 수준으로, 지속 가능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조동용 의원(군산3)은 해양환경공단이 집계한 전국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해양쓰레기가 8만6622t에 육박하며, 도의 경우 군산, 부안, 고창 3개 시군이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을 통해 그해 3437t을 수거했다.

이처럼 해양쓰레기가 매년 늘어나면서 좋합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송하진 지사는 "도와 시군에서만이 아닌 수협, 어민단체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제를 갖춰 지속 가능한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농업기술원이 그린뉴딜 관련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케나프(양삼)기반 차세대 바이오플라스틱 원천기술 개발에 대해 '전주기 시스템' 구축을 주문했다.

현재 전 세계가 환경오염 문제로 석유계 플라스틱 사용규제를 강화하면서 대체 상품 개발에 관심이 커지는 상황이다.

케나프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로서 우수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발견한 도는 이를 활용해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진행될 차세대 바이오플라스틱 원천기술 개발 사업은 케나프 기반 전 주기적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기반 구축을 위한 것으로 약 1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도는 새만금에 케나프 간척지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원료 소재 생산기술을 대학 및 산업체와 함께 연구 개발해 생물·화학적 전환기술에 힘쓸 방침이다.

이를 통해 원천기술이 확보되면 바이오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생산에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송 지사는 "케나프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원천기술 개발이 사업화까지 도달할 수 있으려면 기업유치 등도 신경써야 한다"며 "전주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