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도내 6곳이 선정됐다. 앞으로 전주 2곳을 비롯해 남원, 김제, 무주 등 6곳에 국비 454억원이 사업비로 전해진다. 전북에서 도시재생사업은 비교적 활발하다,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된 2014년부터 따지면 도내에서는 38곳이 선정됐으며 투입되는 예산만 국비 3230억원을 포함한 총 5504억원이나 된다. 전북이 도시재생사업에서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국가기간산업도 아닌 분야에서 이 정도 예산이 투입된다는 것은 이 사업의 중요성을 반증해 주고 있다. 재건축과 재개발로 대변되던 도시정비 시대를 지나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시대에 접어든 것이다. 마을들이 기존 모습을 유지하게 하고 낡은 주거지와 경제가 쇠퇴한 지역을 지역주도로 활성화해 지역 경쟁력을 높이는 게 바로 도시재생이다.
  도시재생 사업 가운데 가장 중한 요소는 ‘지역민 주도’다. 그간 도내는 물론 전국적으로 이뤄진 일부 도시재생의 경우 잡음이 나기도 했다. 도시 재생 사업에 필수적인 지역주민간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파열음이다. 지역주민들로 이뤄진 제대로 된 공동협의체가 없거나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지역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면서 예상치 못한 갈등이 발생하는 사례다. 또한 많은 예산 투입없이 주민들간에 이뤄지던 콘텐츠 위주의 공동체 문화사업이 예산 투입 이후 오히려 어려움을 겪는 예도 있다.
  도시재생 사업이 하드웨어에 방점을 찍으면 안된다. 도시재생사업의 핵심은 지속가능성이다. 사업의 지속 가능성은 물론 해당 지역의 지속가능성도 중요한 것이다. 설령 하드웨어 사업이 있더라도 그것은 콘텐츠를 유지 운영하기 위한 시설에 국한해야 한다. 지역주민들의 환경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수준이 필요하지 사업성과를 과시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돼서는 안된다. 지어 놓은 뒤 제대로 운영되지 못할 시설은 초기부터 제외하는 게 맞다. 짓기 전에 운영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대책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게 옳은 방향이다. 도시재생사업이 원래 취지대로 지속가능성을 빠트리지 않고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