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기 등이 돌아가는 실내 공간에서는 6.5m의 거리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비말 감염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방역수칙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1일 전북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전라북도 감염병관리지원단 단장을 맡고 있는 예방의학과 이주형 교수팀은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조사 시스템으로 지난 6월 17일 전주시 확진의 감염 경로를 조사했다.

이 교수팀은 당시 2m 이상 떨어진 실내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을 통해 감염된 사실을 확인하고, ‘코로나19의 장거리비말전파 근거(Evidence of Long-Distance Droplet Transmission of SARS-CoV-2 by Direct Air Flow in a Restaurant in Korea)’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대학의학회지(JKMS) 최신호(35권 46호)에 게재했다.

조사 대상인 전주시 확진자 A씨는 지난 6월 16일 최초 증상을 나타나고 17일 양성판정을 받았다.

이에 해당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잠복기를 고려해 A씨가 같은 달 2일과 15일 사이 바이러스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당시 A씨의 해외나 타지역의 여행 이력은 확인되지 않았고, A씨의 확진 이전 2주 동안 전주시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A씨의 동선을 파악하던 연구팀은 그가 대전에서 전주를 방문한 확진자 B씨와 동선이 겹친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B씨가 A씨의 감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해당 공간에 대한 CCTV를 확인했다.

확인결과 A씨의 일행은 지난 6월 12일 오후 4시에 B씨의 일행은 오후 5시 15분에 식당을 방문했다.

이들 일행은 6.5m 가량 떨어진 거리에 앉았으며, 5분 뒤인 오후 5시 20분에 A씨의 일행을 식당을 나갔다.

당시 방역당국은 B씨가 식당에 머무는 동안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손님 11명과 직원 2명이 밀접 접촉한 것으로 확인했으며, 이들 13명에 대한 추가 검사를 진행할 결과 B씨의 일행으로부터 4.8m 떨어진 채로 식당에 머문 C씨도 같은 달 20일 확진판정을 받았다.

반면, A씨와 C씨보다 B씨의 일행에 더 가까이 머문 식당의 다른 손님들은 감염되지 않았다.

당시 해당 식당에는 창문이나 환기 스스템이 없이 출입문만 두 개가 있었으며 천장에는 에어컨 두 개가 가동되고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공기흐름 경로나 감염자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앉았는지 여부 등을 조사했으며, 실내에서 A씨와 C씨가 앉아있던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확진자 B씨 일행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공기흐름 경로상 마주보고 있던 A씨와 C씨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이는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 2m 이상의 물리적 거리 외에도 공기흐름을 고려한 좌석배치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주형 교수는 “이번 조사결과 확진자의 거리보다 실내 공기흐름 경로와 확진자와 마주보는 위치 등 실내 공간의 공기흐름 여부에 따른 조사를 통해 추가 감염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코로나19 확진자의 실내 환경의 역학조사가 필요한 경우, 에어컨의 좌석 배치 및 작동 여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실내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잦은 실내 환기와 환기시스템 적용이 필요하다”며 “식당과 같은 실내환경에서는 식사 중에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김용기자·km496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