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수출규제에 맞서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자립화에 공을 들이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가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되기 위해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올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역 산업단지가 큰 위기를 겪었던 만큼,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이 이뤄지면 위기를 극복하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이에 도는 정부가 추진하는 ’소부장 특화단지‘에 지정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전북은 국가 차원의 탄소산업 컨트롤타워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자리하고 있을 정도로 탄소산업에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때문에 도는 탄소 소재 분야를 전주 친환경 첨단복합산업단지 등과 연계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지정받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주관하는 ’소부장 특화단지‘ 공모에 접수했다.

그러나 당시 전북을 비롯해 경기, 경남, 충남 등 10개 지자체가 ’소부장 특화단지‘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열띤 경쟁을 보였다.

당초 산업부는 신규로 조성중인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1~2개의 소부장 특화단지를 시범 지정할 계획이었으나, 지자체의 관심이 커 특화단지 지정 수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로 인해 단지 지정이 내년 상반기로 미뤄졌지만, 도는 이달 말 제출해야 하는 최종 계획서 보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북이 지난 6월 공모 접수한 10개 지자체 가운데 탄소 소재의 경쟁력을 인정받아 예선 대상지로 선택됐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조사한 탄소산업 시장현황에 따르면 전북이 전국에서 탄소산업의 벨류체인 분포도가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6대 탄소분야(탄소섬유, 인조흑연, 그래핀 등) 기업은 전북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탄소산업의 집적 정도가 높은 편인 것으로 파악된다.

도내 탄소산업 기업은 124개, 6대 탄소분야 기업이 89개 자리하고 있다.

도와 함께 소부장 특화단지 예선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은 충남, 충북, 경남, 경기 등으로 12월 예정된 경쟁력 강화위원회에서 최종 대상지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기술개발 이후 사업화 과정에서 실증시험과 성능테스트 수요가 많은 소부장 산업의 특성을 감안해 공용 테스트베드를 확충하고 시험분석 절차 등을 지원받게 된다.

또 입주 기업에게는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해 신속하고 일원화된 규제 대응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러한 지원 혜택을 통해 탄소 기업 집적화는 물론 연관기업 유치, R&D개발, 인력 수급 등이 용이해질 전망이다. 아울러 인구 유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돼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에 정성을 쏟고 있다.

도 관계자는 "탄소 소재는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요트, 의료기기, 수소탱크 등 활용범위가 다양하고 확장성도 크기 때문에 어떻게 구체화 시켜 나갈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품에서 완성품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을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준비해 특화단지에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