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3호기 재가동 계획을 놓고 인근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정비를 이유로 2년 넘게 가동을 멈춘 한빛원전 3호기 시설에 대해 한수원의 구조건전성 평가가 적절하게 수행됐고 평가결과에 문제가 없다며 정비계획까지 승인해준 것은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한 결정이라는 비난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정밀조사조차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우려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원전인근 지자체는 물론 전북지역 정치권 모두가 한뜻으로 불안전한 한빛원전 3호기의 재가동계획을 즉각 멈춰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 2018년 이후 1백24개의 공극이 발견됐고, 격납 건물의 구조적 결함에 치명적인 철근노출과 윤활유 누유현상까지 더해지며 콘크리트 균열까지 의심되는 상황에 지난해엔 관통부의 압력 누설까지 확인된 시설이기 때문이다.
있어서는 안 될 만일의 사고에 방사능누출을 막아줄 최후의 보루라 할 수 있는 방어벽의 균열은 정도의 차이를 떠나 그 사실 자체만으로도 심각한 불안요소가 되기 충분하기에 이런 불안전 시설을 옆에 두고 지내야 하는 주민들의 위기감과 정신적 고통은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더없이 철저한 점검과 예방조치를 상시 가동한다 해도 믿지 못할 정도인데 균열 부분에 대한 정밀조사도 없이 새로운 콘크리트로 그 자리만 메우는 단순한 보수나 수리조치를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는가.
많은 전문가들조차 이 같은 방식은 건물 안전성 확보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말할 정도인데 유관기관들만 이를 보완조치로 인정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한빛원전 3호기는 격납 건물의 내부 균열부터 정밀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 만큼 현재까지 보완 조치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대론 안 된다. 원전시설의 부실점검과 허술한 보수가 가져오게 될 사고는 수습자체가 불가능한 재앙임을 이미 구소련의 체르노빌과 일본 후쿠시마 사례에서 확인한바 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더없는 안전조치가 더해져 주민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제가 드러난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전수조사와 함께 안전성과 운영계획 등에 대한 투명한 공개를 통해 주민과 지자체에게 믿음을 주는 원전행정이 돼야 한다. 모든 불안전한 요소를 갖춘 시설인데도 시간에 쫓겨 이를 덮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제기된 문제점의 시정과 예방을 위해 원점에서 모든 시설을 재점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